[분수대]동백꽃 지는 계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금은 제주에서 동백꽃이 지는 철이다.50년 전의 4월초에도 그랬다.

강요배 (姜堯培) 화백의 4.3 역사화전이 '동백꽃 지다' 라는 제목으로 열린다.타이틀작 '동백꽃 지다' 는 꽃잎이 흐트러지지도 않은 채 통째로 '툭' 떨어지는 동백꽃의 낙화 속에 50년 전 제주민이 겪은 수난을 그린 것이다.

민중의 수난으로 4.3의 본질을 보는 그의 시각은 6년만의 재전시회에 보태는 신작 몇 점에서 더 분명히 드러난다.한 지역의 특정한 사건으로부터 역사 전반의 비극성으로 눈길이 옮겨진 것이다.

역시 제주 출신의 작가 현길언 (玄吉彦) 씨는 4.3을 '미친 시대의 광기 (狂氣)' 라 부른다.

광기는 합리적 이해와 평가의 대상이 아니다.

학술적 접근과 정치적 해법은 4.3의 참모습을 이해하는 데도, 그 상처를 아물리는 데도 한계가 있으리라는 것이다.오히려 문학과 예술의 직관적 접근과 정서적 카타르시스에서 그는 더 긴요한 몫을 기대한다.

그러나 학술에도 정치에도 그 나름의 몫은 있다.

수십년간 4.3의 비극성을 떠올리지도 못하도록 봉쇄해 온 '공산폭동' 론은 독재정권 시절의 유물이 됐지만 아직도 사법적으로는 그 그림자를 치우지 않고 있다.국회의 진상조사위 구성도 의원 과반수의 발의서명을 받아 놓은 채 해를 넘기며 서랍 속에서 잠만 자고 있었고, 학술적 규명도 아직 본단계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50년 전의 4월3일 새벽 5백명 가량의 무장대가 5.10 선거 반대와 서북청년단 등 우익단체의 추방을 내걸고 경찰지서를 습격한 발단 자체는 공산폭동의 성격이라 할 수 있다.그러나 그로부터 1년간 2만여 인명을 앗아간 내전 내지 학살사태 전체를 그렇게 규정할 수는 없다.

어떻게 지역주민의 10분의1이 폭도로 소탕될 수 있었단 말인가.

1년간의 유혈사태도 비극이었지만, 그 슬픔을 제대로 드러내지도 못하고 지낸 40여년의 세월은 또 하나의 비극이었다.피해자의 유족들은 슬픔과 억울함을 펼쳐 내기는커녕 연좌제의 피해까지 겹쳐 겪어야 했던 세월이었다.

아마 이것이 더 먼저 풀어야 할 비극일지도 모른다.

발발 50주년 기념행사중 '해원상생 (解寃相生) 굿' 이 특히 눈길을 끈다.4.3은 폭동이고 항쟁이고를 떠나 하나의 참혹한 비극이었다.

시비곡직보다 비극성을 더 절실히 음미할 사건은 4.3외에도 우리 현대사에 숱하게 많다.

살아남은 자들의 마음을 순화화는 굿판을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