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민주당과 통합하면 대통령·DJ도 기뻐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4.30 재선거' 이후 정계 개편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통합을 둘러싸고 첨예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은 2일 "민주당과의 통합을 실질적으로 거론할 시기가 됐다"며 통합 논의에 나설 용의가 있음을 비쳤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열린우리당을 스토커로 비유하며 통합논의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통합 못할 것도 없다" = 문 의장은 이날 관훈클럽(총무 박정찬) 초청 토론회에서 민주당과의 통합시기를 묻는 질문에 "출생이 같고 대통령을 같이 만든 것 이상의 대의명분은 없다"라며 "재결합이 힘들지만 이념상 가장 개혁적인 정당들이고, 대통령을 같이 만들었기 때문에 (통합)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지금껏 민주당과의 통합에 대해 "대의명분과 투명한 절차 보장이라는 조건이 충족되면 마다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천명해왔지만, 통합논의 착수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왔다.

그는 통합론의 대의명분과 관련, "출생이 같고 대통령을 같이 만든 것 이상의 대의명분은 없다"며 "헤어지는 것보다 재결합이 힘들지만 이념상 가장 개혁적인 정당들이고, 대통령을 같이 만들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민주당과의 통합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두분 사이에 안타까움을 느낀다"며 "통합이 되면 기뻐하실 분들이지 '왜 했느냐'고 할 분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민주당과 민주노동당과의 연대 문제에 대해 "대의명분과 절차만 투명하다면 민주당이 되든 민노당이 되든 사안별로 연대할 수 있고, 때로는 한나라당과도 정책연대를 할 수도 있다"며 "사안별로 정책연합이든 합당이든 문호는 열려있어야 하고, 문호가 닫혀 있는 것은 민주정당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상대방(민주당)은 전당대회 의결을 통해서 통합을 안한다고 했는데 엇박자로 나올 수 없다"며 "(통합론은) 제 희망사항"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는 또 4.30 재.보선 패배에 따른 노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여쭤보진 않았지만 일반적인 상식론에서 말한다면 서운할 것 같다"며 "대통령 국정지지도 50%가 반영됐다면 6석 중 3석은 당선됐을텐데 (재.보선 결과가) 대통령과 관계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재.보선 패배 이후 당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의 '조기 원대복귀론'에 대해 "내가 대중성이 부족한 것은 인정하지만, 그 같은 이유에서 스타플레이어를 업어오자는 것은 반대"라며 "그분들을 위해서도 좋지 않기 때문에 제 임기를 꼭 채우겠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공당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정권재창출이고 차기 주자관리지만, 이 시점에서 참여정부의 성공 만한 차기 전략이 없다"면서 "따라서 입각하신 두 분이나 다른 대권주자나, 당직자나 지금은 참여정부 성공에 초점을 맞출 때고, 초점을 흐리면 (차기) 전략으로서도 손해"라고 덧붙였다

◇"한번 손잡아 보자고 조르고 있다"=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열린우리당 문 의장이 '민주당과의 통합을 실질적으로 거론할 시기가 됐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 "열린우리당이 민주당을 대하는 태도는 거의 스토커 수준"이라고 폄하했다.

유 대변인은 "4.30 재.보선에서 참패한 열린우리당이 민의를 바탕으로 국정운영을 어떻게 잘 할 것인가를 생각하지는 않고 엉뚱하게 합당론을 거론하고 있다"면서 "막무가내로 (민주당과) 같이 살자고, 혹은 손이라도 한번 잡아보자고 조르고 있다"며 이같이 비난했다.

디지털뉴스센터,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