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람들]인선에 참조한 '존안자료'란…출세길 좌우하는 '비파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대중 대통령당선자는 청와대 수석 인선을 하면서 '존안 (存案) 자료' 도 상당부분 참조했다.

존안자료란 사정.공안기관 등이 공직인사에 대비해 비치해 놓은 대외비 (對外비) 인사파일을 통칭한다.

'없애지 않고 보관해둔다' 는 사전적 의미만큼 대상인물의 행적.근무평점.신상.업적.경험을 오랫동안 관찰, 정리해둔다.

부정적 내용이 기록되면 출세에 지장받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 존안자료를 만드는 기관은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안기부 (기획판단실).기무사 (보안처) 등이다.

이들 기관에 부임하는 장 (長) 은 먼저 자기 카드를 꺼내보고 싶어한다.

그래서 해당 기관장이 바뀌면 본인에게 불리한 내용을 빼고 '임시 자료' 를 만들어 제시하기 때문에 담당자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렵다.

파일의 인계.인수는 정권이동기 업무의 핵심 항목. 80년 보안사가 중정 (안기부) 을 접수했을 때 우선 챙긴 게 존안자료다.

92년 6공 (共)에서 김영삼 (金泳三) 정권으로 넘어갈 때 많은 양의 카드가 없어졌다.

이번에도 金당선자 존안카드의 폐기 여부가 관심이다.

인수위가 받은 존안자료는 5종. 이중 청와대의 제출 자료엔 2천6백65명의 전.현직 1급 이상 공직자의 인사내용이 담겨 있다.

자료중의 평가항목은 신문의 프로필난과 비슷한데 직책이 높을수록 충성도.사상이 주요 관찰대상. 안기부 자료는 이보다 더 많은 분량이었다고 한다.

청와대 기록과 달리 사생활쪽 부분이 강하다.

김중권 (金重權) 비서실장이 "여자관계가 깨끗해야 하겠더라" 고 말한 것은 사생활이 자료검증 과정에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 대목이다.

박보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