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타협 기다리는 노사정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4일은 노사정 (勞使政) 위원회의 숨고르기가 격했던 하루였다.

타결 시한이 임박한 탓인지 노사정 3자의 숨겨둔 불만들이 쏟아져 나왔다.

한나라당은 탈퇴 검토의사를 밝혔고 민주노총은 국민회의 당사를 항의 방문했다.

금세 회의장 주변 표정이 무거워졌다.

그러나 대타협에 앞서 “얻을 것은 더 얻어보자” 는 계산이 깔린 진통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분위기가 다시 밝아졌다.

○…3일 오후 재개된 기초위가 끝난 것은 4일 오전2시30분쯤. 8시간이 넘는 마라톤회의였지만 이견은 좁혀지지 않았다.

한광옥 (韓光玉) 위원장은 기초위원들을 중소기업회관 앞 포장마차로 데리고 가 오전4시가 넘도록 소주잔을 기울였다.

각계 대표들은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털어놓았다고 한다.

그러나 “노사정 사이에 넘기 힘든 장벽이 있음을 확인한 것이 성과라면 성과였다” 고 한 위원은 토로했다.

4일 오후2시쯤 기초위원들은 지친 몸을 이끌고 나타났다.

덤덤한 표정들이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노동계에 끌려갈 수 없다” 며 탈퇴 의향을 밝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술렁거리기 시작했다.

민주노총의 입장은 더욱 강경해졌다.

민주노총은 투쟁본부대표자회의를 열고 국민회의 당사에서 농성에 들어간다고 선언했다.

민주노총 고영주위원은 “현 상태의 고용법안이 국회에 상정될 경우 시한부 파업 (6일) 과 노사정 탈퇴를 결정했다” 고 힘주어 말했다.

○…그동안 숨죽였던 재계도 이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전임자 임금지급금지 폐지는 “절대불가” 라고 강조했다.

국민회의측 중재안은 노동의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가는 것” 이라고 쏘아붙였다.

특히 해고절차 강화는 “IMF협약에 위반되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 이라고 못박기도 했다.

“해고시 60일 전 신고조항은 사실상 승인제” “리콜제 의무화 불가” 등 톤을 높였다.

“괜히 안되는 것을 만들어 가지고…” 라는 비난의 소리마저 사 (使) 측에서 흘러나왔다.

그러자 한국노총과 민주노총도 고용조정 요건강화를 주장하면서도 의중을 다 털어놓았다.

한국노총은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중앙 노동행정의 일부 지자체 이관 등을 강조했다.

반면 민주노총은 산하 노조인 교원노조의 연내 허용, 노조의 정치활동 허용 등을 받아내려고 애썼다.

정부측은 중앙 노동행정의 지자체 이관에 조심스런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이런 논쟁을 지켜보던 한광옥위원장은 “해야할 과업이 있으면서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며 “이번 국회에서 처리키로 한 것은 지켜져야 한다” 고 강조했다.

“늦어도 5일까지” 라는 내부 합의시한을 지키겠다는 국민회의 방침을 재확인한 것이다.

신성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