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대입수능]앞으로 입시전략…소광섭 출제위원장 일문일답(6)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지난해 어려웠던 수리탐구Ⅰ 영역의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교과서에 실린 예제와 유사한 문제도 출제해 중상위권 수험생들의 성적이 10여점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

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를 위해 한달간의 합숙을 마치고 19일 기자회견을 가진 소광섭 (蘇光燮.53.서울대 물리교육과 교수) 출제위원장은 "언어및 사회.과학탐구등에서도 통합교과형 문제를 늘려내는등 과외의 폐단을 줄이고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하려 했다" 고 출제 기본방향을 설명했다.

- 쉽게 출제되면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우려도 있는데.

"어려운 문제라고 무조건 변별력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쉬운 문제라고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수리탐구Ⅰ은 성적 상위 50%의 학생이 평균 50점 이상은 받아야 한다는 출제 지침에 맞추려고 노력했다. 수리탐구Ⅱ중 사회나 과학분야 모두 지난해보다 약간 쉬운 방향으로 출제했다. "

- 통합교과형 문제를 줄인다는 교육평가원장의 당초 말과 달리 오히려 늘어난 이유는.

"어떤 상황을 제시하고 역사적.지리적 측면등 여러 교과에서 질문하는 '세트 문항' 과 생물학적 소재를 상황으로 제시하고 다른 교과, 다시 말해 물리학적 문제를 묻는 통합 형태를 늘렸다. "

- 교과서내 출제를 늘리고 기출 (旣出) 문제를 활용하면 부작용은 없나.

"학교교육 현장을 중요시해야 하기 때문에 언어영역의 경우 교과서 내에서 출제된 지문이 1~2개 정도 늘어났다. 교과상 핵심적이고 중요한데도 기출문제라고 비켜가면 나중엔 중요하지 않은 문제만 내게 된다. 기출문제라고 내용이 똑같다는 것이 아니라 기본틀이나 주제가 유사하다는 뜻이다. "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