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지정폐기물공공처리장,환경부의 계획변경으로 시설 놀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거액의 예산을 투자해 조성된 광양 지정폐기물공공처리장이 완공 1년만에 14일부터 겨우 문을 열었지만 시설 대부분을 여전히 놀리게 됐다.

하루 1백t 처리시설인데도 환경부의 뒤늦은 계획변경과 광양시.주민 반발로 광주.전남지역 배출량 8t만 처리하게 된 것. 광양시금호동 광양제철소 슬래그투기장안의 지정폐기물공공처리장 (약도 참조) .소각잔재물과 광물제련.폐수처리후 남는 찌꺼기, 폐주물사 (廢鑄物砂)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한 지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환경시설이다.

환경부가 93년부터 조성을 추진, 총5만평 (매립용량 85만6천t) 중 1단계 1만2천여평 (10만6천t) 을 95년6월 착공해 지난해 11월 완공했다.

사업비가 자그마치 1백2억원이 들어가고 환경관리공단에 운영을 맡겨 올해초부터 직원 11명이 근무했으나 1년간 가동을 못한 채 그냥 놀았다.

환경부의 잘못이 크다.

환경부는 당초 반입 폐기물을 광주.전남에서 배출되는 물량으로 제한키로 하고 주민 동의와 광양시.전남도 인가를 받았다.

그런데 공사를 끝낸 뒤 경남진주.마산.창원등 다른 시.도에서 나오는 물량도 들여오겠다고 딴소리를 하고 나섰다.

처음 계획을 세울 땐 광주.전남의 지정폐기물이 하루 65t이었으나 중간에 폐기물 분류체계가 바뀌어 8t으로 줄어 다른 지역의 것도 처리해야겠다는 것. 광양시는 "폐기물관리법이 착공전인 94년4월 개정됐는데 완공후에야 지역제한 해제를 요구해왔다" 며 "일단 건설하고 보자는 식으로 일을 밀어부친 것" 이라고 지적했다.

광양환경운동연합 이서기 (李誓基.35) 사무국장은 "환경부가 광주.전남 물량만 처리한다고 약속한 바 없다고 거짓말을 하는등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을 우롱하고 있다" 고 비난했다.

환경부 폐기물시설과 李진영사무관은 "인가조건을 변경해 지역제한을 없앨 방침" 이라고 밝혔다.

광양 = 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