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전국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 수 공개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전국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 수는 그동안 입시 학원에서 주로 유통됐다. 정보 확보 능력을 과시하며 학생을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이었던 것이다. 학부모와 학생들은 공식적인 정보 접근이 차단돼 입소문이나 학원 측에 매달려야 했다.

올해부터는 상황이 달라졌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말부터 인터넷을 통해 학교별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학교알리미(www.schoolinfo.go.kr)’를 통해서다. 그러나 개별 고교의 대학 합격자 수는 공개하지 않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 합격자 수를 공개하면 학교 서열화가 우려된다며 상급 학교 진학률만 공개하고 있다.

명목적인 진학률 정보는 정확성이 떨어진다. 서울 A고는 진학률을 94.2%라고 공시했다. 이 수치는 4년제 대학과 2년제 전문대를 합친 최초 합격자 기준이다. 최종 등록 학생이 아닌 것이다. 합격하고 재수하는 학생은 통계에 잡히지도 않는다.

서울 휘문고 신동원 교사는 “전문대까지 따지면 졸업생 숫자보다 대학정원 숫자가 많아 학교가 마음대로 높일 수 있는 수치”라며 “진학률 자료가 별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알 권리를 위해 전국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 수를 공개키로 했다. 교육 수요자인 학생·학부모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뒤처진 학교를 지원하자는 취지에서다. 평준화 정책의 그늘에 묻힌 학교·지역별 학력 격차를 알려 우수 교사를 우선 배정하고, 교육 인프라 투자를 유도하자는 것이다. 소외 지역의 문제에 대한 의식을 공유해 학생들의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자는 의미도 있다. 영국·미국 학교들도 진학 자료는 인터넷으로 공개한다. 다른 대학에 복수 합격해 서울대에 등록하지 않는 수험생도 있어 고교별 최종 합격자 수에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