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한보 국정조사 특위위원들 김현철 청문회 비난전화 빗발에 곤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회 한보 국정조사 특위소속 여야 의원들이'김현철(金賢哲)청문회'후유증을 톡톡히 겪고 있다.

현철씨에게 솜방망이를 휘둘렀다는 의혹을 받고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는 셈이다.특위위원들에게는 26일까지도 비난전화가 빗발쳤다.

신한국당 의원들에게는 주로“'신문지침'대로 잘 하더라”,국민회의 의원들에게는“김홍일(金弘一.김대중 총재 장남)의원 때문에 현철이 봐줬느냐”,자민련 의원들에게는“호통만 치면 다냐”는 전화가 많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괜히 국정조사에 참여했다”“청문회 스타의 꿈은 물거품이 됐다”고 한숨짓는 의원들의 수도 부쩍 늘어났다.

당의'명령'으로 뒤늦게 특위에 합류한 신한국당 원내수석부총무인 김호일(金浩一.마산합포)의원은 26일 청문회에 불참하고 지역구로 내려갔다.

25일 야당의원들과 비뇨기과 의사 박경식(朴慶植)씨를 비난하며 현철씨를 노골적으로 비호한 그에게는 셀 수 없을 정도의 항의전화가 쇄도했다고 한다.지역구에서조차“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질책이 쏟아졌다고 한다.

맹형규(孟亨奎.신한국당.서울송파을)의원은“어제부터 집과 의원회관.지구당 사무실로 걸려온 전화의 4분의3이 질타와 비난전화였다.그동안에는 격려전화가 4분의3이었는데…”라며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孟의원은“소위 지침이라는 것을 의식하지는 않았으나 현철씨에게 말할 기회를 많이 준 것이 시민들에게는 비호하는 것처럼 비친 것같다”고 말했다.

재야 노동운동가 출신인 김문수(金文洙.신한국당.부천소사)의원에게도“여권물이 든 것같다”는등의 질책이 쏟아졌다.그에게는 지역이 지역인 만큼 근로자들의 항의전화가 많았다.

金의원은“한보청문회가'현철 청문회'로 변질돼 신문의 초점을 잡기 쉽지 않았다”며“현철씨가 문제가 많다고 해서 청문회를 인민재판식으로 몰고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한국당의 이국헌(李國憲.고양갑).박헌기(朴憲基.영천)의원도“너무 무르다”“밋밋하다”는등의 전화를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받았다고 했다.

국민회의 김경재(金景梓.순천갑)의원은“당신도 변했느냐는 전화를 많이 받았다”고 실토했다.

그는“현철씨가 국정.인사 개입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시인할 줄 알았는데 그의'아니다'일변도 답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고 후회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국민회의 의원은“한보로부터 돈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김홍일 의원을 보호하라는 지시가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물렁했느냐”는 전화도 적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철씨에게 거친 언사를 퍼부은 자민련 이양희(李良熙.대전동을)의원에게는“통쾌하다”는 전화가 없지는 않았으나“흥분하는게 능사가 아니다”는 전화가 주류를 이뤘다는 것. 시민들의 반응이 이처럼 냉담하고 혹독하자 의원들은“수사권이 없는데 어떡하란 말이냐”(이국헌 의원),“검사를 배속시키는등 증거수집 권한이라도 줬어야 했다”(김경재 의원)고 하는등 설명과 해명에 땀을 흘리고 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