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김영삼 대통령 대선자금 문제 다시 제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회의가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92년 대선자금 문제를 다시 제기했다.

내용이 과거보다 좀더 구체적이어서 여권의 대응이 주목된다.

국민회의 임채정(林采正)의원은 24일“정태수(鄭泰守)한보 총회장이 직접 金대통령에게 6백억원을 주었고,건네진 장소는 민자당 민주계 원로의 집”이라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金대통령의 대선자금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은 크게 두가지다.

노태우(盧泰愚)전 대통령이 건네준 수천억원설과 한보로부터 건네진 수백억원설이 그것이다.

盧전대통령의 측근이었던 안병호(安秉浩)전 수방사령관은 지난해 3월 한 월간지와의 인터뷰에서 “1천4백억원이 盧대통령으로부터 김영삼후보에게 넘어갔다”고 증언했다.

지난해초에는 盧씨 아들 재헌(載憲)씨가“(金대통령에게) 쓸 만큼 줬다”고 밝힌 적도 있다.

국민회의 박광태(朴光泰)의원은 지난 임시국회에서“金대통령이 盧씨로부터 대선자금 3천억원을 받아 쓰고 남은 1천억원을 鄭총회장에게 맡겨 돈세탁과 자금증식을 해왔다”고 주장했다.

金대통령 대선자금의 한보 재유입설은 야당의 단골메뉴다.

김충조(金忠兆)의원도 지난번 국회 대정부질문에서“92년 대선에서 쓰고 남은 돈 2천6백억원이 한보에 투자됐다”고 주장했었다.

여기에 林의원 발언이 보태짐으로써 야당은 한보-金대통령-한보로 이어지는 대선자금의 순환을 주장하는 셈이 됐다.

한보게이트에도 불구하고 金대통령 대선자금의 진상이 밝혀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국민회의측은 金대통령 정권에 대한 불신의 깊이와'임기말'이란 점이 상황을 바꿀 수 있다고 장담한다.

국민회의 박지원(朴智元)기조실장은“김현철씨의 청문회 증인출석과 검찰조사를 누가 예상했었던가”라며 대선자금 공세가 더욱 거세질 것임을 예고했다.

한편 여권은 林의원 주장에 대해 강한 반발을 보였다.신한국당 이윤성(李允盛)대변인은“의혹제기가 야당의 전매특허는 될 수 없다”며“국회의원이면 누구든 허위사실을 유포해도 책임이 없단 말이냐”고 반문했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