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표 영어 잘 하려면

중앙일보

입력

‘아이들 영어 교육을 위해서는 집에서도 영어를 쓰면 좋다는데….’ 그러나 막상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머릿속에서만 맴돈다. “엄마들도 자신 있게 영어로 말하자”고 외치는 이들이 조언을 주었다. 지나김(아줌마 영어회화 첫걸음 저자)· 김동미(미국엄마 뺨치는 엄마표 영어회화 저자)씨가 정혜원(43·성남 분당구)·김소현(33·성남 분당구)씨와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아줌마 영어회화에 대해 한바탕 이야기 꽃을 피운 정혜원김소현김동미지나김씨(왼쪽부터). 이들은 아줌마의 뻔뻔함을 무기로 영어 회화에 강해지라고 입을 모았다.

김동미(이하 동): 모두 반갑습니다. 지나김님, 실제로 뵈니 더 젊으시네요.
지나김(이하 지): 호호, 이래봬도 12년차아줌마에요. 아줌마들이 가정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죠. 보통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가장 많은 게 엄마잖아요. 상황별 회화를 활용할 기회도 그만큼 많죠. 엄마가 자신감을 가지면 아이들도 영어에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답니다.
동: 아이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것에 대해서도 영어로 대화를 하면 공감대가 형성돼요.
김소현(이하 소): 그런데 회화를 위해서는 문법도 어느 정도 필요한 것 같아요.
동: 물론 중요하죠. 우리 땐 무조건 외웠지만… 문법·회화·어휘가 맞물려 가야죠. 미국선 간단한 구조라도 긴 문장을 배우는데 우리나라는 짧은 문장만 익히려고 해요.
정혜원(이하 혜): 엄마가 그 언어에 대해 모르면 아이가 힘들게 배우게 되는 것 같아요.
지: 아이의 수준과 연령에 따라 적절한 학습적 접근을 할 수 있다는 게 엄마표 영어의 장점이기도 해요. 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줄 때에도 단순히 영어로 읽고 한국말로 풀어주기보다 “This means ~ ” “What do you think?” 등 영어로 이야기를 나누면 좋답니다.
혜: 하지만 엄마로선 답답해요. 아이와 어떻게 대화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지: ‘나는 영어 못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사실 못하는 게 아니라 안하시는 거거든요. 틀리면 어쩌나 하는 자존심 때문에 아예 시작을 못하는 거죠. 일단 내뱉어 보세요. 대한민국 아줌마의 뻔뻔함을 발휘하는 거에요. 공부해 나가는 데 필요한 자료는 인터넷 등에 무궁무진하답니다. 굳이 기러기아빠 만들지 않아도 집에서 영어교육 충분히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해요.
혜: 저는 사실 엄마표 영어를 해보려고 공부해서 스토리텔링 자격증을 따기도 했어요. 그런데 어느 순간 아이들이 저보다 영어를 더 잘하더라고요. 제가 가르칠 수 있는 수준을 넘어버린 거죠.
소: 저도 스토리텔링 수업을 들어본 적 있어요. 하지만 역시 실천이 어렵죠. 머리에서 맴맴 돌기만 하고 좀처럼 말이 입 밖으로 나오질 않아요.
혜: 내가 모르는 걸 아이가 물어볼 때 “엄마도 그건 모른다”고 말하기를 두려워하는 엄마들이 많죠.
동: 그래요. 아이와 함께 공부해 나간다는 태도가 중요한데 말이죠. 엄마도 실수하고 모를 수 있다는 걸 이해시키고, 아이에게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지: 혹시 아이가 엄마 발음 나쁘다고 타박하나요? 그럼 이렇게 말하세요. “그래 엄마는 발음 이렇게 해. 그럼 어떻게 발음하는 게 맞는 건지 가르쳐 줄래?”
혜: 맞아요. 우리집에서도 내가 영어를 잘 못하니까 아이가 날 가르쳐주는데, 자기가 엄마를 도와준다는 생각이 드는지 신이나서 설명해 주더라고요.
동: 미국인들도 완벽한 영어를 하지는 않는다는 걸 기억하세요.
지: 영어로 말이 잘 안나올 땐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을 비디오나 눈에 보이는 물체 등을 활용해 설명하세요. 억지로 완벽한 문장 만들려고 하지 마시고요. 아이에게 가르쳐줄 내용을 미리 보고 주요 단어·문장·설명 등을 준비한다면 가장 좋겠죠.
동: 팁을 드리자면, 주어+동사를 먼저 잡으세요. 웬만한 문장은 만들 수 있어요. 어휘는 카드를 활용해 아이와 함께 익히시고요. 동화책 하나를 반복해 읽으면서 자연히 외우면 표현력도 늘게 됩니다. 본전 뽑을 때까지 읽는 거에요.(웃음)
지: 챈트 등에 접목시켜서 음률을 붙이면 더 좋아요. 긴 문장도 쉽게 익힐 수 있거든요.
혜: 경험상, 아이 가르치기 위한 공부가 결국 나에게도 도움이 되더라고요.
소: 중간에 끊기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니까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겠네요.
지: 자신감은 필수. 기 쭉펴고 마음껏 영어하세요.

프리미엄 최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