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동문화원 폐쇄 후유증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인천 중동문화원이 개원 1년여 만인 이달 말 폐쇄될 예정인 가운데 이에 따른 후유증이 확산되고 있다. 아랍권 국가 외교관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인천시의회, 시민단체들도 국가 신뢰도를 추락시키는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해 10월 남동구 구월동에서 문을 연 중동문화원을 올해 안에 폐쇄하고 내년부터 다문화 전시관인 ‘글로벌센터’로 개편키로 했다. 이에 따라 중동문화원은 지난 주말 시민 관람을 종료하고 현재 자료 반환 등 문화원 정리 작업에 들어갔다.

중동문화원 운영을 맡고 있는 한국·중동협회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오만 등 주한 아랍권 8개국 대사들은 지난달 중순 안상수 시장을 만나 문화원 폐쇄 조치에 대해 항의했다. 이들은 “이해와 협력의 취지로 문을 연 중동문화원이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문을 닫게 되면 아랍권과의 교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문화원 폐쇄 휴유증은 내년 인천세계도시축전 준비에도 이어지고 있다. 중동 국가들이 최근 문화원 폐쇄에 항의해 인천에서 개최되는 국제행사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전해왔다는 소문마저 나오고 있다. 실제 인천시는 쿠웨이트시티·도하(카타르)·카이로(이집트)·두바이(UAE) 등 6∼7개 중동 도시를 대상으로 내년 세계도시축전 유치 활동을 펴고 있지만 아직 한 곳도 성사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명숙 인천시의원은 “일부 종교의 시선을 의식해 중동문화원을 폐쇄한 것은 졸속 행정이자 국가 신뢰도 실추 행위”라고 지적했다.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는 11일 성명에서 “개원 1년여 만에 폐쇄를 결정한 것은 신의를 저버린 행위”라며 “불필요한 외교 마찰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중동문화원을 존속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