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안기부法 변칙처리 관련 與圈 强攻 어디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청와대 고위 당국자는 26일의 국회변칙처리에 대해“묵은 현안이 완결됐다”고 흐뭇해 했다.
익명을 부탁한 이 당국자는“내년에 경제와 안보를 두축으로 국정에 드라이브를 걸려는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구상을 차질없이펼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신한국당 핵심부에 안기부법과 노동법의 연내 통과는.
절박한 과제'였다.내년으로 이들 법안을 넘기면 국정운영에 결정적인 주름살을 준다고 믿었다.
때문에 그동안 여권(與圈)은 내년 金대통령의 임기 마지막 1년의 국정을 강력히 밀고가기 위한 환경과 분위기를 마련하는데 머리를 짰다.
이를 위해 연말을 시한(時限)으로 정해 한쪽으로 정국의 주도권을 잡고,다른 한편으로는 골치아픈 정책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전력을 기울여 왔다.지난주 낙동강 수질개선과 동시 추진하기로 한 대구위천 국가공단 지정문제도 중요 정책과제였 다.
그리고 DJP연합전선이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일은 정국장악을 위한 또 다른 선결조건이었다.양쪽의 사안은 서로 연관돼 있으며 무엇보다 레임덕(권력누수)방지와 대선구도를 짜는 문제와 관련돼 있다는 것이 여권의 판단이었다.
여권의 관계자는“이 문제를 올해말까지 풀지못하면 권력관리가 민감해지는 내년 국정스케줄에 차질을 줄것으로 걱정해 왔다”고 전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야권 공조를 허무는 것과 관련,여권핵심은 시기선택에 고심한 것으로 전해졌다.여권 핵심부는 DJP연합이 최고조에 달했을때,아니면 초기에 힘을 뺄 것이냐를 놓고 따져보다 조기에 타격을 주는 쪽을 선택했다.
자민련을 떠난 세명의 의원을 신한국당에 바로 입당시킨 것은 이런 효과를 계산했다는 것이다.
지방정치무대도 최각규(崔珏圭)강원지사의 자민련 이탈이후 여권과의 관계가 새롭게 설정되는 미묘한 분위기가 퍼지고 있다.지난24일 차관급인사때 조순(趙淳)서울시장의 경질 요청을 받아들여金대통령은 서울시 제1,2부시장을 새로 임명해 준바 있다.
이같은 흐름은 신한국당의 대선구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대선주자들에게도 안보강화와 경제 되살리기의 기조에 이탈하지 말라는 청와대의 강력한 메시지가 전달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권의 또다른 관계자는“金대통령은 내년 국정을 임기 시작 때의 초심(初心)으로 공격적 경영을 할 것이며 그 기반이 조성된것”이라고 해석했다.따라서 권력누수 방지와 정국 장악을 바탕으로 강력하게 국정을 끌고 가려는 여권의 새로운 카드가 계속해 등장할 것으로 정치권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박보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