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칼럼>한심한 入試행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고입(高入)선발고사 시험과 대입(大入)특차모집 원서접수 마감일이 겹친 10일 오전.경기도 B고교 도서관은 고3 학생과 진학지도교사.담임교사.학부모등 수십명이 좁은 열람실에서 오후5시마감을 앞둔 특차모집대 원서를 작성하고 상담하느 라 아수라장을방불케 했다.
평소 입시원서를 쓰던 교무실.교실이 고입 선발고사 시험운영본부와 시험장으로 차출(?)된 것이다.
올해 대입 일정이 한달정도 앞당겨졌으나 대입 일정을 조정한 교육부와 고입 선발고사 일정을 결정한 15개 시.도 교육청 사이에 사전 협의가 없었기 때문이다.
시.도 교육청은 교육부에 사후 보고했지만 교육부내에서도 고입선발고사 주관 부서와 대입 담당 부서간 조정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그 결과 고입 선발고사장에는 수험생.시험감독관을 제외하곤 누구도 들어갈 수 없는데도 대입 수험생들은 교육청들의 임시 조치로 학교내 도서관이나 빈 교실에서 원서를 작성했다.
특차 원서를 쓰는 고3 교사들은 9일 입시자료를 미리 원서쓸장소로 옮겨놓긴 했지만 10일에도 필요한 자료를 찾으러 자주 교무실로 가야 했다.
게다가 여유 장소가 없는 일부 고교는 9일까지 특차 원서 작성을 끝내거나 연합고사 시험이 끝나는 10일 오후1시25분까지원서를 쓰지 못해 고3 학생들의 불만이 이어졌다.
입시행정의 난맥상은 이 뿐만이 아니다.교육부가 올해 도입한 대학설립 준칙에 의해 97학년도 개교예정으로 교육부 설립심사를받고 있는 24개 대학들도 교육부의.늑장행정'으로 심한 속앓이를 하고 있다.입시는.중반전'으로 달려가는데 2 4개 대학법인들은 모집공고조차 못내고 있다.신설대학을 염두에 둔 수험생들도지원가능한지 몹시 궁금해 한다.
그럼에도 11월말까지 확정.발표키로 했던 교육부는 공식 해명없이“대학설립심사위원회와 건설교통부 수도권정비 심사위원회의 심사가 늦어졌다”는.속편한'얘기만 되풀이하고 있다.
여기에다 올해 4개월동안 엄청난 사회문제를 일으켰던 학교생활기록부나 행정낭비가 우려되는.특차 합격자의 복수지원 허용'조치등 입시행정의 허점을 거론하자면 끝이 없을 지경이다.
올 4월 출범한 2기 교육개혁위원회가 내세운 목표는.교육개혁의 현장 뿌리내리기'다.
그러나 현장의 불만이 계속되면 뿌리내리기는커녕 현장에는 냉소만 불어난다.
교육개혁은 말로 되는 것이 아니다.교육부와 교육개혁위원회는 현장과 함께 하는 마음 씀씀이가 절실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오대영 교육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