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프라를세우자><전문가제언>8.정부기록보존소 살리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국가기록물은 한 나라의 과거와 현재를 미래로 잇는 중요한 연결고리로 그 나라의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설계하는데 필수적인자료다.특히 21세기 고도정보사회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원천인 기록물이 체계적으로 관리.공개 돼야 한다.우리나라도 정보화사회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역사기록의 체계적 보존과 효율적인 공개제도 마련이 시급하다.
우리나라의 낙후된 역사기록 보존실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해 한국역사연구회(회장 박종기 국민대 교수)는 오는 23일 오후2시 대우재단빌딩 3층 강연실에서.한국의 역사기록 보존,어떻게 할 것인가'란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갖는다.올바른 기록보존문화 정착을 위해 역 사학계가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이 토론회에서는 미국.독일.러시아.일본등 외국의 문서보존체계와 실태를 점검하고 강만길(고려대).김인걸(서울대)교수등이 나와 우리나라의 역사기록 보존방향에 대해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토론의 사회를 맡은 박찬승(목포대)교수는 “일본의 경우 70년대부터 역사학자들이 문서관 설치를 위한 입법운동을 펼쳐 88년문서관법이 국회에서 통과됐다.우리도 왜 문서관이 필요한지에 대한 계몽적인 캠페인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기록보존 실태를 발표하는 김재순(정부기록보존소)학예연구관은 문서관의 중요성을 정부.일반 국민들에게 인식시키는 것과함께 법규와 기구의 제정.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국가적 차원에서 기록보존 기능을 강력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기록보존법'을 제정하고 입법.행정부의 모든 기록물을 일원적으로 통합관리할 .기록보존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그러나 아무리 관련 법규가 마련되고 기관이 설립돼도 문서를 취급할전문인력이 없으면 사상누각에 불과하다.이런 점에서 도진순(창원대)교수는 특히 전문인력 양성과 이들에 대한 적절한 대우가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미국국립기록관리청에서 일하는 기록보존 전문가들은 1천2백명이 넘으며 이들은 대부분 미국사를 전공한 석사.박사학위 소지자들이다.우리의 경우 정부기록보존소에 5명 내외의 전문인력 밖에없어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우수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이들에 대한 처우가 개선돼야 한다.” 역사학계는 이번 학술심포지엄을 계기로 문서보존의 중요성을 정부.일반인에게 인식시키고,궁극적으로 국립문서관의 기구.예산.권한의 확대를 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정창현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