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급 회담 개최 불투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 5일 평양 고려호텔에서 열린 제14차 남북 장관급 회담에 앞서 정세현 통일부 장관(左)과 북측 권호웅 내각 책임참사가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정부가 지난 2월 남북 간에 합의가 이뤄졌다고 발표한 장성급 군사당국회담이 암초를 만났다. 5일 평양 14차 장관급 회담에서 북측이 한.미 합동 군사연습을 먼저 중지하라고 들고 나온 때문이다.

13차 회담 때 남측은 '합의', 북측은 '군부에 건의'라는 서로 다른 공동보도문을 내면서도 장성회담 성사를 장담했던 통일부는 곤란한 입장이 됐다.

정세현(통일부 장관) 수석대표는 오전 전체회의 모두에 "한쪽만 눈이 있는 비목어(比目魚.가자미)는 제대로 갈 수 없다" 며 사회.문화 교류와 군사대화의 균형을 강조했다.

회담 관계자는 "협상 초반 북측이 강한 입장을 들고 나온 것일 뿐 개최 합의를 완전히 뒤집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1시간20분간의 첫 전체회의에서 북측 권호웅(내각 책임참사) 단장은 "시대에 맞게 북남관계를 진전시켜야 한다"며 한.미 군사연습 중지 등을 요구했다.

지난달부터 탈북자들이 운영해온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비난하고 나선 것은 황장엽씨 등이 출연해 북한 인권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자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북측은 중앙통신을 통해 "지난달 9차 이산상봉 때 통일부 직원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천민 출신'으로 비난한 데 대해 조치를 요구했다"고 비공개 회의내용까지 흘리며 '통일부의 실수'를 재론하는 장외 신경전도 펼쳤다.

서울에서 회담을 모니터한 정부 관계자는 "전임 김영성 단장은 그래도 착한 사람"이라며 교체 투입된 權단장이 이날 거친 태도를 보였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북측은 6일 수석대표 접촉 등을 통해 식량지원을 요청하면서 태도를 누그러뜨릴 것으로 예상된다.

평양=공동취재단,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