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1번지><문답풀이>2002월드컵축구 공동개최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9면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2002년 월드컵축구 한.일 공동개최론을 둘러싸고 갖가지 해석과 이론이 엇갈리고 있다.
문답을 통해 이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본다.
-공동개최 근거규정은.
『1국(One Nation)개최 규정은 국제축구연맹(FIFA)정관과 시행규칙에는 명시돼 있지 않다.그러나 개최지 결정권을쥐고있는 집행위에서 만든 「월드컵 유치신청에 관한 유치국 규정」에 명시돼 있다.
따라서 이 조항을 둘러싼 유권해석이 엇갈릴 수 있다.』 -그렇다면 집행위에서 유치국 규정을 개정하면 곧바로 공동개최가 가능한가. 『1국 규정을 둘러싼 해석이 명확하지 않아 FIFA와유럽축구연맹(UEFA)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FIFA는 공동개최안이 집행위에서 통과되더라도 총회(7월3~4일)의 인준을 받아야한다는 입장이나 UEFA는 개최지 결정권이 집행위 에 위임된 만큼 집행위 결정으로 족하다는 주장이다.
-집행위의 결정을 총회가 뒤집을 수도 있다는 뜻인가.
『원칙적으로는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공동개최안을 정관개정에 따른 총회인준 사안으로 볼 경우 1백91개 회원국 과반수의 출석과 4분의3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그러나 현재까지 집행위 결정사항이 총회에서 번복된 전례가 없다 .』 -주앙아벨란제 FIFA회장이 마지못해 집행위 결정을 존중한 뒤 총회에서 번복을 시도할 가능성은.
『아벨란제회장으로서는 UEFA중심의 반아벨란제 무드가 개최지결정투표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고 당초의 속셈(일본의 단독개최)을 「완성」시키는 술책으로 상정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기는 하나 자신의 진퇴가 걸린 위험한 도박이 아 닐 수 없다.
더욱이 부결될 경우 2002년 월드컵개최지 문제는 집행위로 회귀하게 되며 이에 따라 FIFA사무국은 집행위 재소집 등 추후일정을 다시 정해야 한다.
-만일 총회에서 한.일 공동개최안은 일단 부결하되 공동개최 자체는 가능하도록 정관을 개정한다면.
『공동개최가 언제부터 가능하도록 규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2002년부터 적용시킨다면 한.일 공동개최 문제는 다시 거론될수 있을 것이고 그 이후 어느 시점부터 적용키로 한다면 2002년 개최지는 한국이든 일본이든 양자택일할 수밖 에 없다.』 정태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