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지혜롭게 대처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독도 영유권 강화를 위한 학술·정책 연구를 총괄하는 독도연구소가 14일 문을 열었다.

지난달 24일 정부가 동북아역사재단 산하에 독도 문제 전담 연구소를 만들기로 한 지 21일 만이다. 독도연구소의 설립은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한 정부 입장이 ‘조용한 외교’에서 ‘적극적·전략적 외교’로 전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지 8월 12일자 25면>

독도연구소장은 국제법 전문가인 김현수(50) 인하대 교수가 맡았다. 연구소는 3개 팀 23명으로 구성됐다. 국내로는 독도 관련 연구와 정책 개발의 허브 역할을 하고, 국외로는 해외동포·재외공관과 네트워크를 만들어 한국의 독도 영유권에 대한 적극적 홍보에 나선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식 출범한 ‘독도연구소’ 개소식의 참석자들과 청와대에서 간담회를 열고 “독도를 포함한 영토 주권과 관련해선 대통령으로서 단호하고 냉철한 의지를 갖고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독도 문제는 10년, 20년 전 우리가 힘이 없고 국제적 네트워킹이 없었을 때와 지금의 대응 방식이 달라야 하며, 아주 지혜로운 대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 학계와 기업, 정부, 750만 명의 해외 동포가 네트워크를 구축해 역사적·문화적으로 그리고 국제법상으로 연구해 대응하면 세계를 설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글=최상연·배노필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