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北.美장성회담 성사 위한 우리정부의 협조 요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이 제의한 북.미 장성급 회담 성사를 위해 미국이 여러 채널로 우리 정부를 설득.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우리정부가 반발,한.미간에 갈등이 증폭되고 있으며 향후조정여부가 크게 주목되고 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28일『우리정부가 반대의사를 여러차례에 걸쳐 분명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정부는 지난 1월 커트 캠벨미국방부 아태담당 부차관보 명의의 서신을 우리 국방부 고위당국자에게 보내 북.미 장성급 회담의 성사를 위한 우리 정부의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관계기사 2면〉 이 관계자는 북한의 제의가 군사정전위를 무력화하고 한국을 배제하려는데 있음에도 미국이 북한의 입장을 거의 그대로 수용,한국측에 요구하는 것은 이해할수 없다고 지적했다. 캠벨 부차관보는 서한에서 『미국은 주한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대화통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미 장성급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한국정부의 정책 재검토 작업이 긍정적 결과가 되 게 도와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에앞서 지난해 9월 게리 럭 주한 미군사령관은 이양호(李養鎬)국방장관에게 서신을 보내 이같은 미국의 방침을 통보해왔으며,李장관은 11월 군사충돌을 막기위한 대화통로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북.미 장성급회담이 성사될 경우 당사자 해결 원칙에 기초한 남북기본합의서가 사문화되고 한국은 국외자로 격하된다며 반대의견을 담은 공한을 럭 사령관에게 전달했다.
미국측은 한국장성이 맡고 있는 군정위 수석대표를 회담대표에서제외시키고,회담 의제도 북한의 주장을 그대로 반영해 한반도 분쟁.군사대결 예방이라는 포괄적인 것으로 하고 있다.특히 북한이한국을 배제하기 위한 책략으로 제시한 판문점 일직장교 교대건물을 회담장소로 사용토록하고 있으며 미군 소장이 유엔측 대표가 돼 혼자 북한군 중장(우리계급 소장)과 맞대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김민석.김두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