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해외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한국의 총선 결과에 주목하면서 한.미동맹, 이라크 파병, 북한 핵 문제 등 국제정치에 미칠 파장을 저울질했다.

◆미국=국무부는 아직 공식논평을 내지 않았다. 그러나 주미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미 국방부 쪽에서는 선거 결과에 따라 한국의 이라크 파병 방침에 변화가 있을까봐 우려하는 눈치"라고 전했다.

AP통신은 "40여년 만에 처음으로 진보성향 의원들이 국회를 장악했다"며 "이들은 탄핵심판을 기다리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의 입지를 강화해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룸버그 통신도 이번 총선 결과에 따라 盧대통령이 탄핵심판에서 벗어나는 길이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워싱턴 DC의 한국경제연구소(KEI) 피터 벡 연구원은 "한.미 관계는 이미 제도화 단계에 들어섰기 때문에 열린우리당의 압승으로 인해 한.미 관계가 급속히 악화될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중국=한반도 전문가들은 열린우리당의 압승이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에 일정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현대국제관계연구소 양보장(楊伯江) 동북아 연구실 주임은 "현 정부가 순탄하게 대북 화해정책을 펼칠 수 있는 힘을 얻게 됐다"고 말했다. 중국 언론들은 특히 민주노동당이 한국 정계에 공식적으로 데뷔하게 됐다는 점에 관심을 보였다.

◆일본=한국 전문가들은 당분간 한국의 정치.사회가 큰 변화의 물결에 휩싸이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즈미 하지메(伊豆見元) 시즈오카(靜岡)현립대 교수는 "여당이 다수당이 돼 정부에 힘이 붙을 것"이라며 "정치권의 세대교체가 이뤄진 것이 큰 특징이지만 젊은 층이 모두 노무현 대통령의 생각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방향을 잡기까지 6개월 정도는 불안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시게무라 도모미쓰(重村智計) 다쿠쇼쿠(拓殖)대 교수는 "선거 후 한나라당이 이미지 쇄신을 위해 이름을 바꾸고 여당이 분열되는 등 정계 개편이 예상되지만 평화를 중시하는 대북정책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핫토리 다미오(服部民夫) 도쿄(東京)대 교수는 "한국 경제는 이미 정치로부터 독립돼 움직이기 때문에 정치가 불안정하다고 해서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며 "산업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키느냐가 경제회생의 최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총선 결과가 기존의 한.러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남북한 관계에 갖는 의미는 훨씬 클 것이란 지적이다. 러시아 극동연구소 콘스탄틴 아스몰로프 선임 연구원은 "양국 간 경제협력과 북핵 문제 해결과정에서의 공조는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이번 총선 결과가 앞으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결과 남북한 경제협력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도쿄.베이징.모스크바=김종혁.오대영.유광종.유철종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