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신도시 건물마다 공공디자인 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로 결정된 안동시 풍천면 및 예천군 호명면 일대의 항공사진. [경북도 제공]

9일 도청 이전 예정지 확정 뒤 관련 첫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규방 도청이전추진위원장, 김관용 지사, 이상천 도의회 의장, 문경원 평가단장(왼쪽부터)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9일 도청 이전 예정지 확정 뒤 도청에서 관련 첫 기자회견을 열었다.

회견에 앞서 김관용 지사와 이상천 도의회 의장은 담화문을 발표했다. 도청 이전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협력을 당부하는 내용이었다.

기자회견에는 김관용 지사와 이상천 의장, 이규방 도청이전추진위원장, 문경원 평가단장 등이 분야별로 답변에 나섰다. 다음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도청과 동반 이전하는 산하·유관 기관은 얼마나 되나.

“(김관용 지사)도청은 2013년 이전되고 산하·유관 기관은 2017년까지 이전이 완료된다. 모두 186곳이며 이 가운데 73곳이 이전 대상이다. 이들 기관은 동반 이전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지역 특성을 살리는 등 다른 시·군에 나가 있는 기관은 가급적 현 위치를 존중할 것이다. 이전 대상은 다시 검토하겠다.”

-관련 재원은 어떻게 확보하나.

“(김관용 지사)총 2조5000억원을 예상한다. 지원 근거가 마련된 국비 확보에 최대한 노력할 것이다. 또 현 청사를 매각하고 민자도 유치할 것이다. 현 청사는 시장(市場) 기능에 맡기기 보다 공공의 목적으로 쓰였으면 한다.”

-탈락지역의 반발로 도의회가 ‘도 사무소의 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를 의결하는데 어려움은 없겠는가.

“(도의회 이상천 의장)탈락지역 출신 의원들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양보의 미덕, 성숙한 도민의식이 절실한 시점이다. 입법예고를 거쳐 상임위에서 충분히 논의한 뒤 이번 정례회나 또는 다음 정례회까지 성사시키도록 해 보겠다.”

-동남권 탈락지역은 평가에서 성장성 대신 왜 균형성을 중시하게 됐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이규방 추진위원장)평가항목의 가중치는 도민과 전문가 의견을 반반으로 들어 반영했는데 놀랍게도 두 집단의 판단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도민의 혜안에 감사드린다.”

-도청 이전이 대구·경북의 경제 통합 움직임에 반하는 결정은 아닌가.

“(김관용 지사)산고를 거쳐 이전 예정지라는 옥동자가 나왔다. 이를 어떻게 키울 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다. 도청 이전은 신도시 건설이다. 도시 개념이 다르다. 유럽 등 선진국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행정타운이다. 건물 하나하나에 공공디자인이 도입되는 등 정체성을 갖춘 품격있는 도시가 될 것이다. 도청 이전은 경제 통합에는 전혀 문제될 게 없다. 대구시와 협력은 앞으로 더 강화되고 발전될 것이다.”

-탈락지역에 대한 배려나 대책은 마련하고 있는가.

“(김관용 지사)반발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끝없이 협력하고 타협하겠다. 균형발전 조례를 만들고 특별회계를 두는 등 제도적 장치를 통해 접근하겠다.”

-이번 선정 절차에 문제가 생긴다면 누가 책임지게 되는가.

“(이규방 추진위원장)위원장을 맡은 뒤 모든 걸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해 왔다. 도민의 화합도 생각했다. 추진위의 모든 결정은 추진위원 17명 전원의 이해와 합의에 의해 이뤄졌다. 유치가 과열되면서 31건의 제보가 접수됐지만 평가에서 과열 유치행위로 감점을 받은 곳은 없었다. 추진위는 이번 선정에서 한점도 양심의 부끄러움이 없다. 도지사는 추진위가 어디서 회의하고 평가단이 어디서 묶는지조차 몰랐다. 제가 전권을 행사했다. 잘못된 게 있으면 제가 모두 책임질 것이다.”

-평가 과정은 별 문제가 없었는가.

“(문경원 평가단장)내부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4박5일간 원활하게 진행됐다. 가중치 봉투는 집계 직전에 개봉됐다. 또 집계 과정은 시·군의 평가위원이 희망할 경우 모두 살펴봤다.”

송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