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속의 한국-과거현재미래"광복5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한국인의 고유한 신앙이나 종교가 있었던가.한국의 주요종교들은시기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것이다.그렇다면 다른 나라에 비해 종교단체가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현상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우리에게 전통종교가 있었다면 그것은 무속(샤머니즘)이다.무속과 현 종교의 발전을 연관시켜 살펴볼 필요가 있다.일종의 범신론적 바탕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물론 이것만으로 설명되지않으며,다양한 요소가 검토되어야 한다.한국에서 종교조직의 증가는 ▶해방 이후 서구민주주의의 도입으로 종교의 자유가 확대되었던 점▶수난사를 통해 형성된 한이 종교의 풍부한 풍토가 될 수있었던 점▶인구의 팽창및 도시화▶남북분단에 따른 이데올로기적 갈등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미국과 달리 한국의 종교는 종교지도자 뿐만 아니라 교인들에게도 대단한 헌신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그럼에도 종교는앞으로 확대될 것이다.그 이유로 ▶극단적인 투쟁과 생존을 통한풍부한 종교환경▶경제적 풍요로 인한 종교적 기 회 증대 및 타문화 접촉 확대에 따른 종교다원주의 정착▶빈곤과 정치적 억압,종교적 죄로부터의 해방에 대한 염원을 꼽을 수 있다.종교는 국경이 없다.더욱이 통일 이후 북한은 종교의 새로운 개척지가 될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