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S어디까지왔나>1.美 정부및 산업계 동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제품의 기획단계에서부터 개발.생산.유통및 폐기에 이르는 모든과정에서 가장 확실하고도 효과적인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부각된CALS는 세계 각국의 산업 현장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오는 18일 서울에서 열리는 「CA LS 코리아95:제2회 국제회의및 전시회」를 앞두고 CALS 실천에 앞서가는외국 사례와 함께 태동기(胎動期)를 맞은 국내 산업계및 국방분야의 CALS 추진현황을 알아본다.
[편집자註] CALS(통합물류.생산시스템)의 종주국(宗主國)인 미국의 CALS 추진 주도권은 민간기업이 쥐고 있다.
지난해 CALS관련 연구보고서도 76%가 민간기업에서 나왔다.CALS는 다국적기업이 많은 미국에서 신속한 제품개발과 경영전략 수립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민간기업의 대표적인 CALS 성공사례는 자동차회사인 크라이슬러社의 「네온프로젝트」다.
GM社가 「새턴」이라는 신차개발에 5년동안 50억달러나 투입한데 비해 크라이슬러는 3년반만에 16억달러를 들여 「네온」이라는 차를 내놓는데 성공했다.
이 회사는 CALS의 핵심기법인 동시공학에 따라 설계.제조.
품질검사.운용.영업.애프터서비스와 각종 지원부서의 핵심요원으로구성된 「플랫폼팀」을 운용했다.
팀원들은 다른 요원의 업무를 파악하고 공통으로 알아야 하는 내용을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었다.중요한 설계변경이 있을 때마다 생산라인을 신속하게 뜯어고쳐 나감으로써 시간과 경비를 절약했다.美연방정부도 상무부를 중심으로 민간기업에 대한 CALS의 보급에 적극적이다.92년 CALS가 정식 예산항목중 하나로 등장하던 당시 2억달러였던 것이 93년 5억달러,지난해에는10억달러 규모로 늘어났다.클린턴행정부는 CALS와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연결,97년부터 연방정부의 모든 물자조달시스템을 CALS로 구축할 예정이다.이것이 완성되면 연방정부내 부처별 물자구매 요청이 해당시스템과 정부전자조달 네트워크를 거쳐 업체로 광속(光速) 전달되는 전자거래의 일관체제가 마련된다.
CALS는 국가위기관리에도 효과적인 대안이 되고 있다.자연재해.테러.국가비상시에 대비,모든 정부기관과 민간기업을 CALS로 연결,15분내에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체제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삼풍백화점 붕괴참사때 구호물품 이나 건설장비등 필요한 물자가 언론매체를 통해 조달된 것과 좋은 비교거리다. CE(Concurrent Engineering)제품의 개발.생산.유통.애프터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담당자들이 공유해 개발비용과 시간을 줄여주는 CALS의 핵심기법.이를 위해 개별 공정간의 관계를 짜맞추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돼야 하며 공정간의 진행 상황이 서로에게 공개돼야 한다. 李玟鎬〈本社뉴미디어전문기자.經博〉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