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직무정지] 정당 지지도 전망 엇갈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된 뒤 정당 지지도가 급변하고 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 결과 지난달 2일 15%였던 열린우리당 지지율은 탄핵안이 가결된 지난 12일 34%로 나타났다. 40일 만에 무려 19%포인트가 올랐다. 다른 여론조사기관의 조사 결과도 비슷하다. 열린우리당 지지율이 급등한 반면 한나라당과 민주당 지지율은 각각 3~5%포인트 급감했다.

4.15 총선까지 한달을 남겨놓고 나타난 현상에 정당 간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반색하는 반면 한나라당.민주당은 "일주일 뒤면 본래대로 되돌아갈 것"이라며 "감성적 여론"이라고 평가절하하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전망도 엇갈린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정당지지도가 10%포인트 상승하려면 특정 연령.계층의 변화만으로는 불가능하다"며 "친노(親盧)단체 등의 탄핵 규탄 집회가 사실상의 선거운동 효과까지 낳게 돼 야당의 희망과 달리 장기화할 수 있다"고 했다.

반면 리서치앤리서치 노규형 대표는 "일단은 탄핵 정국에 대한 국민의 정서적 반응인 만큼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신중론을 폈다. 그는 "탄핵안 가결 직후 고건 대행체제에 대해 잘할 것이라는 응답이 62%로 나타났다"며 "탄핵정국이 혼란 없이 수습될 경우 지지에 변화가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여론 흐름의 주요 변수로 탄핵정국에서 민주당 지지층이 흔들리고 있는 점을 꼽았다. 탄핵안이 가결된 뒤 호남에서 열린우리당 지지가 급등하고 있다는 것. 때문에 이 현상이 수도권으로 북상할 경우 열린우리당 강세가 고착화할 수 있다고 했다.

◇동요하는 수도권 야당의원들=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수도권 의원들은 비상이 걸렸다.

"아주 안 좋다"(민주당 설훈), "걱정된다. 상황이 안 좋다"(한나라당 남경필) 등 하나같이 지역 여론이 위험수위라고 토로했다.

중앙당 차원에서 비상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탄핵 원인을 누가 제공했는지에 대한 논쟁을 당에서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고 우려했다.

반면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한나라당을 탈당할 때 화냈던 분들이 입당하겠다는 전화를 걸어왔다"(김영춘) 등 고무된 모습이다. 이부영 의원은 "이런 때일수록 낮은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도 했다.

박승희.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