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不.脫法 영업관행 여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삼풍백화점 붕괴를 계기로 임시판매대 설치,파견사원 위주의 영업 등 백화점들의 불법.탈법 영업관행을 고쳐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신세계.미도파 등 대부분의 백화점들은 「삼풍사고」이후에도 엘리베이터 앞이나 비상계단 입구 등을 매장으로 사용해 소방법 등 관련법규를 어기는 것은 물론 화재 등 사고발생시에 인명피해를 늘릴 우려가 크다는 지 적을 받고 있다. 또 백화점들은 자사 직원이 아닌 중소입점업체 파견인력 위주의 영업에 치중함으로써 이번 삼풍백화점 사고에서 보듯이 판매원복지나 인명피해시의 보상문제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3일 오후 롯데백화점 본점에서는 지하 1층 비상구 입구에 상품을 쌓아 놓았는가 하면 6층 아동복매장은 비상계단 입구를 가로막으면서 상품진열대를 설치해 영업중이었다.미도파백화점 메트로점은 4층 캐주얼의류매장의 비상구 바로 앞에 계산 대를 설치해고객들의 통행이 어렵도록 하고 있으며,새로나백화점에서는 4층 엘리베이터 앞 복도 전체를 불법개조해 신사의류판매코너로 영업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 백화점 매장은 평소에도 고객들이 화장실이나 출입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상품매장을 복잡하게 배치해화재 등 유사시에는 대형참사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백화점업계의 고질적 병폐인 파견사원문제도 근본적인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삼풍백화점의 경우 모두 2천4백여명이 영업현장에서 종사하고 있었는데 이 가운데 6백50여명만 직영사원일 뿐 나머지는 입점업체에서 파견된 인력들로 이번 사고에서 이들의 희생이 큰 것으로 밝혀졌 다.이같은 상황은 롯데.신세계.현대 등 다른 백화점도 마찬가지여서 전체 영업인력의 80~90% 가량이 파견사원들이다. 파견사원 문제는 그동안 입점업체들이 백화점측의 암묵적인압력에 밀려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따를 수밖에 없는 고질적인 불공정거래 관행으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판촉사원문제는 백화점측에서 우월적 지위를 남용할 소지가 있고 산업구조적 인력수급면에서도 많은 문제가 있어 백화점협회를 통해 비율을 낮추도록 지도하고 있으나 관행이 뿌리 깊어 좀처럼 시정되지 않 고 있다』고말했다. 〈林一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