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탈당자들 복당은 유권자가 결정할 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몽준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26일 공천 탈락으로 탈당한 ‘친박연대’ ‘무소속 연대’ 출신들의 총선 후 복당 문제와 관련, “공천을 못 받았거나 탈당한 분들이 들어올 것이냐 여부는 유권자들이 결정할 일이다. 당선되면 그 지역구의 유권자께서 ‘한나라당으로 가라’고 하면 가는 게 순리”라고 말했다.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와서 한 말이다.

그는 이어 “다른 나라에서는 이런 일이 생각할 수도 없고 생기지도 않는데 아직 우리나라는 정당이라는 제도가 튼튼히 자리잡지 않았기 때문에 유권자의 말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최고위원의 이 같은 입장은 당 지도부와 정반대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국민들은 당을 떠난 분들을 한나라당이 받아들이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방호 사무총장도 “무소속 당선자의 한나라당 입당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가 왜 이런 얘기를 했을까. 정 최고위원은 7월 당 대표 경선에 나설 뜻을 밝힌 적이 있다. 한나라당 대권 주자 후보군 중 한 명으로 꼽히기도 한다. 그래서 이날 언급은 친박연대나 무소속 연대 출신들이 당선돼 당에 돌아올 경우 이들을 적극 끌어안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 또 한편에서는 최고위원으로 제 목소리 내기에 시동을 걸었다는 평가도 있다.

그는 이날 동작을 선거가 바쁜 와중에서 도봉갑의 신지호, 노원병 홍정욱 후보의 선거 사무실 개소식에 참석했다. 당내에선 그의 ‘개소식 행보’ 역시 차기 당권을 위한 준비로 보는 시각이 많다.

정 최고위원은 이상득 국회 부의장의 불출마 의견에 대해 “본인이 국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했는데 국민들께서 차분하게 생각했으면 한다”며 “피선거권 자체를 차단하려는 것은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용호 기자

500만원

한 사람이 국회의원 후보자 한 명에게 낼 수 있는 기부 한도액. 여러 명에게 기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한 사람이 연간 2000만원 이상의 정치 후원금을 내는 것은 금지돼 있다. 1회 10만원 이하, 연간 120만원 이하는 익명 후원이 가능하다. 총선 후보자가 거둘 수 있는 후원금 한도는 연간 1억5000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