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상>성장의 새 경제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기술이 역사를 움직인다」고 하면 카를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명제를 연상하기 쉽다.『손으로 돌리는 방아는 봉건지주의 사회고증기로 돌리는 방아는 산업자본가들의 사회』로 그는 규정지었다.
기계가 역사를 만들고 사용하는 도구와 기술이 그 사회의 성격을 결정한다는「기술결정론(Technological Determinism)」이다.마르크스는 실제 이코노미스트였다.방대한 저작가운데 사회계급에 관한 언급은 10여페이지에 불 과하다.
최근 『기술이 역사를 움직이느냐』는 편저(編著)를 낸 미국 MIT의 두 역사학자 메릿 스미스와 레오 마르크스는 산업혁명초기부터 금세기중반까지 기술은 곧 인류행복의 원천으로 역사를 움직여왔다는 견해를 편다.
대량 파괴무기등 기술의 「위협」이 부각되면서 기술결정론은「기술 그 자체가 아니고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는 인간들의 결정이 역사를 움직인다」로 굽이를 틀었다.같은 TV라도 상업화로 TV문화를 꽃피우는 나라가 있고 국가통제아래 선전 미디어에 머무르는 나라도 있다.혁신기술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대응이 나라별 성장단계를 가늠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컴퓨터및 정보통신기술에 의한 사회 경제혁명으로「기술결정론」은 다시 날개를 달았다.
첫 비상(飛翔)이 「성장의 새 경제학」이다.성장의 요인으로 지금까지 자본과 노동 두 요소만 고려되고 기술은 불규칙적인 외생변수로 취급돼 왔다.슘페터가 기업가혁신에 의한「창조적 파괴」를 성장의 동인(動因)으로 내세웠지만 이를 계량화 하지는 못했다.39세의 새 기수 폴 로머(버클리)는 기술을 세번째 요소로추가하면서 반역(反逆)을 거듭한다.리카도이후의 수확체감법칙을 거부하고 기술과 투자는 서로를 북돋우는 선순환(善循還)관계로 파악한다.기술개발촉진에 독점은 유용할 때가 있다.근면과 위험부담,투자및 기술혁신이 경제를 성장시킨다.케인스 또는 통화주의자들의 정책처방은 경기순환에 역점을 둔 것으로 성장과는 관계가 없다.재정 금융정책을 통한「미조정」보다 신기술개발을 촉진시키는것이 정부의 할 일이라 고 한다.경제성장의 역사를 다시 쓰게 될지도 모를 정보화시대의 경제학혁명이다.
〈本紙칼럼니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