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새 공천협상 급진전-民自 대통령歸國 임박 타협결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야 대결상황은 13일 밤부터 급변했다.
민자당은 당초 인구를 기준으로 한 이른바「인구론」만을 고집했다.30만명이상 시에만 공천을 허용하는 안(金潤煥정무1장관)과50만명이상 안(金德龍총장)이었다.
민자당 핵심의 절충안이라 이것이 민자당의 마지노선인듯 싶었다. 현경대(玄敬大)총무가 제안했던「기초단체장 공천허용.의회의원배제」라는 이른바「분리공천안」「반반(半半)론」은 자리잡을 틈이없었다. 그러나 민자당의 상황은 이날 최후의 카드로 시와 군을분리해 시에서만 공천을 허용하는「도농(都農)형 분리공천안」을 민주당에 제시했다.「인구기준안」에서「분리공천안」으로 급선회하는굉장한 입장변화였다.하지만 민주당은 이도 거부했다.당 론은 도농형이 아닌 반반론이라는 입장을 끝까지 고집했다.
결국 「30만안」→「50만안」→「반반론」→「도농형안」→「반반론」의 변화과정을 겪었다.반전과 반전의 연속이었다.
이같은 반전은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귀국이 하루밖에 남지 않아 어떤 방식이든 결론을 내지 않으면 안되게끔 되어 있는 여권의 긴박한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민자당내 상황반전의 현상이 확실하게 가시화된 것은 14일 아침. 金장관은 이날『민자당이 도농분리공천안을 제시했으나 민주당의 반대가 워낙 심해 현실적으로 절충이 불가능한 상태』라면서『민주당 요구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金장관은 이어『양당총장 접촉을 통해 합의한뒤 여야3역회담을 거쳐 타결을 모색중』이라고 부연했다.
황낙주(黃珞周)의장 역시 14일『대통령의 귀국시점에 구애될 필요없다』『여야가 서로 상대방의 견해를 진지하게 경청,절충을 모색해야 한다』고 타협을 강조했다.
그는 또『대화하는데 시한을 정해 둔다면 성급한 태도』라면서『민주당이 막고있는데 강행처리가 가능하겠느냐』며 강행처리 가능성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13일 오후10시 긴급소집된 민자당의 심야 고위당직자회의후 고위당직자들은 한결같이『내일(14일)의원총회때까지는 협상을 계속한다』『14일 새벽에 무슨 강행처리냐』고 말해 무언가타결될 듯한 분위기를 풍겼다.
이에앞서 여야총장은 여의도 某호텔에서 최후협상에 돌입.
당초 민자 金총장은 강창성(姜昌成)의원과 회동,『姜의원이 이기택(李基澤)총재의 밀명을 가져온게 아니냐』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는데 잠시후 金총장은 姜의원과 교체된 최낙도(崔洛道)총장과 연달아 만나 절충을 계속했다.
이날 협상은 민자당이 비록 도농형이지만 분리공천안을 들고나옴으로써 그동안 여야가 실체가 분명치 않은 협상안으로 힘겨루기에치중했던 것과 달리 분명한 안들을 제시함으로써 접점을 발견하기시작했다.
〈鄭善九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