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 반기문 총장 취임 1주년 평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4호 04면

“신임 유엔 사무총장은 감탄을 자아내거나 박수갈채를 받는 인물은 아니다. 그러나 부지런하게 일하고 끈덕지게 설득하는 뭔가를 갖고 있다.”

“카리스마 부족을 날카로운 통찰력과 끈기로 극복”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취임한 지 1년이 지났다.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1월 5일자) ‘부지런함의 보상’이라는 기사에서 반 총장의 활약상을 소개하면서 그를 ‘컴백 키드(comeback kid·돌아온 기대주)’라고 묘사했다. 취임 초기 조용한 행보를 보였던 반 총장이 수단 다르푸르 사태, 지구온난화 대책, 유엔 개혁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음을 평가한 표현이다.

이코노미스트는 반 총장의 최대 업적으로 수단 다르푸르에 유엔-아프리카연합(AU) 평화유지군을 파견한 것을 꼽았다. 2003년 내전이 발생한 다르푸르에선 2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으며 지금까지 20만 명이 학살당했다. 반 총장은 지난해 9월 수단·차드·리비아를 순방하면서 분쟁 당사자들에게 조속한 폭력사태 종식을 촉구했다. 다르푸르 평화유지군은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2만6000명에 이른다.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12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회의’도 언급했다. 187개국이 참여한 이 회의에선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발리 로드맵’에 합의했다. 이 잡지는 “반 총장이 자신의 연결망을 능숙하게 활용해 다르푸르에 유엔 깃발을 꽂는 데 반대하는 중국과 기후변화협약에 반대하는 미국·중국을 집요하게 설득해 돌파구를 찾아냈다”고 말했다.

반 총장의 유엔 개혁 노력도 주목받고 있다. 취임 이후 9000명의 유엔 직원들이 지켜야 할 윤리헌장을 만들고 지난해 크리스마스에는 부패 혐의가 확인된 11명을 파면했다. 코피 아난 전 사무총장 시절 이라크에 대한 석유-식량 프로그램을 놓고 부패 스캔들이 터진 것을 의식해 조달 관련 분야를 개혁했다. 유엔 역사상 처음으로 부서 간에 중복되거나 시대에 뒤떨어지는 업무들은 효율 위주로 통폐합시켰다.

이 잡지는 반 총장의 취임사 중 “조용히 앉아 있지 않겠다”는 발언을 인용한 뒤 “그는 1년간 12만5000마일(약 20만㎞)을 돌아다녔다. 39개 국가·지역을 57번 방문했으며 300차례의 양자 회담을 했다”는 사실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반 총장은 유엔 직원과 각국 대사들로부터 폭넓은 존경을 얻고 있다”며 “(반 총장은)카리스마가 부족한 것 같지만 날카로운 통찰력과 순수한 끈기로 이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코노미스트는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신문의 헤드라인을 차지하고 분열과 스캔들로 얼룩졌던 유엔이 돌연 조용해진 것 같다. 대담한 계획도, 현란한 연설도, 원대한 비전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반 총장이 취임 직후 코피 아난 전 총장과 가까운 고위 간부들을 몰아내고 유엔 바깥에서 경험이 적고 자질이 부족
한 사람들을 영입해 격앙된 논란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사담 후세인에 대한 사형집행에 찬성 입장을 밝힌 것, 동(東)예루살렘 방문 시 이스라엘에 치우치는 느낌을 줘 팔레스타인인들의 마음을 상하게 한 것, 충분한 사전 협의 없이 유엔 개혁을 밀어붙인 것을 반 총장의 실수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