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뛴 덕' 국부 6000조 돌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외환 위기를 맞은 1997년 이후 10년 만에 한국의 국부(國富)가 1.9배로 불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토지자산은 같은 기간 2.1배가 돼 땅값 상승이 국부 증가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토지자산 증가는 노무현 정부 4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2002년 1665조원이던 전국 토지자산은 지난해 말 3053조원으로 4년 만에 1.83배가 됐다. 반면 김대중 정부 5년 동안 토지 자산은 1.13배 느는 데 그쳤다. 통계청은 26일 이런 내용의 '1997~2006년 국부 통계 추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말 한국의 국부 총액은 6035조원으로 10년 전보다 93% 늘었다. 통계청 김영노 분석통계과장은 "68년부터 10년마다 전국의 자산을 모두 조사해 국부 통계를 발표해 오다 올해부터 간접조사 방식으로 바꾸면서 국부 통계를 매년 발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계청이 발표하는 국부는 유.무형 고정자산, 재고자산, 토지자산, 입목자산, 지하자산, 내구소비재 7가지 자산만 조사하기 때문에 실제 국부 총액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르면 토지자산은 97년 1464조원에서 지난해 말 3053조원으로 2.1배가 됐다. 국부에서 토지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46.9%에서 지난해 말 50.6%로 절반을 넘어섰다. 토지자산은 98년 외환위기 직후 8.5% 줄었다가 2002년부터 두 자릿수로 급격하게 불어났다.

통계청 이태성 경제통계국장은 "토지자산이 2002년 이후 급격하게 는 것은 전국적으로 땅값이 오른 데다 종합부동산세를 도입하면서 공시지가에 시가를 반영하는 비율을 급격히 높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같은 무형 고정자산은 같은 기간 2.4배로 늘었다. 반면 97년 이후 10년 사이 건물.기계.운수장비와 같은 유형 고정자산과 가구.가전제품 등 내구소비재의 가치는 각각 1.9배와 1.7배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말 현재 목재로 활용할 수 있는 나무자산의 가치는 22조원으로 조사됐다. 지하자원의 가치는 최근 원자재 값 상승으로 10년 사이 2.2배 불어난 40조원으로 평가됐다.

보유 주체별로 보면 개인이 46%로 가장 많았고, 법인이 34.9%, 정부가 19%였다. 개인의 비중이 큰 것은 토지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전 국토에서 면적기준 0.6%를 차지하고 있는 서울의 토지자산이 전체의 31.9%를 차지해 서울 집중도가 두드러졌다. 다음은 경기 27.6%, 인천 5.1%로 수도권의 토지자산 비중이 64.6%에 달했다.

박혜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