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창>르완다 新정부 수립후 원조끊겨 경제재건 발동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소수파 투치族이 이끄는 르완다 애국전선(RPF)이 다수파 후투族을 몰아내고 지난 7월 새 정부를 세움으로써 일단락되는 듯하던 르완다 사태가 최근들어 다시 악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정권의「정통성」을 문제삼는 일부 서방국들이 對르완다 원조계획을 유보할 자세를 보임에 따라 新정권의 경제재건계획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년간 르완다에 2억3천만달러(약1천8백40억원)를 쏟아부었던 유럽연합(EU)은 새 정부의 대표성 확립과 후투족 난민의 귀국 허용을 조건으로 내세우며 당분간 원조계획에서 발을 빼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세계은행(IBR D)또한『이미 빌려간 5백만달러를 상환하기 전에는 르완다에 차관을 추가 공여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서방국들중 원조에 제동을 걸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는 과거 후투족 집권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던 프랑스.現정권은 무력으로권력을 차지했으며 전체 인구구성비로 따져 봐도 대표성이 없다는것이 프랑스측 주장이다.그 배경에는 원조를 해 봤자 전체인구의15%를 넘지 않는 소수파 투치족 집권층의 배만 불릴 것이 뻔하다는 계산이 자리잡고 있다.
사태 해결의 또 다른 연결고리인「난민 귀향」문제도 단시일내 해결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인근 자이르나 탄자니아.부룬디 등지의 난민촌에 흩어져 있는 2백만명의 르완다 난민은 과거 투치족에 대해 무자비한 학살을 자행했던 후투족 舊지배층의 세력아래 놓여 있다.
후투족 무장세력은 자신들의 권력기반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新정부의 정통성을 약화시키기 위해『귀국하면 투치족에 의해 죽는다』는 선전선동과 함께 무력을 동원하면서까지 난민들의 귀국을 막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난민들은 내전 이전의 집과 재산을 되찾을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태에서 굳이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고향으로 돌아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기아의 공포」도 커다란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농사지을 사람이 부족한 탓도 있지만 굶주림에 지친 르완다인들이 곡물의 종자까지 다 먹어치웠기 때문이다.국제농업연구소자문그룹(CGIAR)을 중심으로「희망의 씨앗」공수작전이 펼쳐질 예정이 지만 르완다의 기후와 토양에서 잘 자랄수 있는 감자.콩 등의 종자가 필요한 양만큼 제때 도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朴長羲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