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자율화 조치 발표되던 날-대학 質경쟁 획기조치 환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8일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자율화 정책에 대해 각 대학은 『시대적 추세에 발맞춘 획기적 조치』라며 환영의 뜻을 나타내면서 본격적인 대학경쟁시대를 맞아 대책마련에 나서는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재정기반등 교육여건이 취약한 일부 지방 사립대의 경우『자율화 정책을 십분 활용할 수 있는 형편이 취약한게 현실』이라며 수도권대학과 지방대학간 격차 심화를 우려하는 반응을 나타내기도 했다.
또 학생들은 대학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학사.정원등 자율화조치가 등록금자율화 조치와 맞물려 결과적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이 가중될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였다.
서울대 김신일(金信一.53.敎改委위원.교육학)교수는 『교육부의 자율화 정책 추진을 지지한다』면서 『그러나 대학의 자율운영속에서도 일정수준 교육의 질을 지키기 위한 교육당국의 지도.감독기능만은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金교수는 또 『학사운영이 자율화된 이상 교육.대학당국은 학생.학부모.기업등 전사회에 각 대학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공개해야 하며 공정한 경쟁을 통해 질적향상을 이루도록 다양한 대학평가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세대 장건수(張健洙.51.수학)교무처장도 『교육개혁을 앞당기기 위한 대학자율화조치는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면서 『신입생선발권을 포함한 좀 더 폭넓은 대학자율화 조치가 앞당겨져야 한다』고 말했다.
張처장은 특히 『다학기제도 도입이나 교양과목 이수비율 조정등은 95학년도부터 시행하기에는 너무 늦게 발표됐다』면서 『교무.기획등 분야별로 운영위원회를 소집,95학년도 신입생부터 졸업학점을 단과대별로 다양화하는 방안등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고려대 김미경(金美京.21.국문3)양은 『대학자율화가 자칫 등록금인상등 학생의 경제적 부담을 강요하지 않을까 걱정되기도 한다』며 『학생이 알찬 내용의 교과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한편 동아대 송서일(宋瑞日.54.산업공학)기획실장은 『계열별정원조정 자율화로 학교별 특성화 전략에 따른 정원증감이 가능해지는 등 자율화조치에 찬성한다』면서도 『그러나 재정이 취약한 대학들이 받아들이는 반응은 각양각색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계명대 손국호(孫國鎬.53.법학)교무처장도 『획기적 조치를 원칙적으로 환영하지만 세칭 수도권 명문대와 지방대간 여건의 차이가 지나치게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면도 있다』고 말했다.
〈權寧民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