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한화 8년 동거 끝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천NCC를 공동 경영해 온 한화와 대림의 갈등의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이준용(69·사진) 대림산업 명예회장은 2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승연 한화 회장과 이신효 여천NCC 부사장, 허원준 한화석유화학 대표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고 밝혔다. 고소인은 대림산업 유화부문의 한주희 대표로 돼 있다. 이번 주 초에는 대림 측의 이봉호 여천NCC 대표가 이 부사장을 같은 혐의로 고소하기도 했다.

◆경영 주도권 다툼=고소 사태는 전남 여수 여천NCC 공동대표인 이신효 부사장이 한 경제신문과 한 7일자 인터뷰가 도화선이 됐다. 인터뷰에서 이 부사장은 “합작이 지속되기 힘들다면 어느 한 쪽이 지분을 정리하고 나가는 게 회사나 국익을 위해 바람직하다. 대림산업이 보유 지분을 넘긴다면 한화가 인수할 의향이 있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보도됐다.

이에 대림 측은 즉각 반발했다. 지난해 대림산업 대표이사직을 끝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이 명예회장은 12일 여천NCC 등기이사로 복귀했다. 이어 이날 김승연(55) 회장 등 한화 측에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이 명예회장은 “대림산업 임직원과 가족, 거래처가 깜짝 놀랐다. 주가도 떨어져 시가총액 1조원이 날아갔다”고 비난했다. 그는 “손해배상 소송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화 측은 “고소를 납득할 수 없다”며 반박했다. 김 회장이나 경영진이 여천NCC 문제에 어떠한 지시를 한 바 없다는 것이다. 이 부사장의 인터뷰는 해당 신문 가판에 실렸다가 언론사에서 기사내용이 사실과 다름을 인정하고 본판에서 삭제했다는 것이다. 한화 관계자는 “고소는 다분히 정략적·의도적”이라며 “문제는 합작계약과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은 데 있다”고 주장했다.

◆해묵은 갈등=여천NCC는 1999년 두 그룹 간 ‘자율 빅딜’로 탄생했다. 경기고 선후배인 이준용 명예회장과 김승연 회장이 합의해 대림산업과 한화석유화학이 50%씩 자본금을 댔다. 2000년대 이후 중국 특수로 지난해 매출이 출범 당시의 두 배인 4조4000억원에 달할 만큼 성공했다. 두 회사에 2003년부터 매년 각각 1000억원 이상의 배당금을 가져다 주는 효자가 됐다.

그러나 안을 들여다보면 바람 잘 날이 없었다. 2001년 노조 파업 때 대림 측은 유화책을, 한화 측은 공권력 투입 등 강경책을 주장했다. 당시 이 명예회장은 김 회장 측을 자극하는 신문 광고를 내면서 감정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는 후문이다.

여기에 주요 보직을 절반씩 번갈아 하고 진급도 같은 숫자로 한다는 합의도 발목을 잡았다. 전체 직원의 70%가 넘는 대림 출신들이 반발한 것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대등 합병 자체가 잘못된 출발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장희(경영학) 동서대 교수는 “대등 합병일수록 사람·제품·경영 프로세스를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합병 후 통합(PMI)’ 과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실패하기 쉽다”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