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식 수능, 운동권 학부모 작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9면

이원희(사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회장은 "9등급제 수능은 로또식 성적표"라며 "이 정부(노무현 정부) 들어 '운동권 학부모'들이 밀어붙인 제도"라고 말했다. 7월 회원 직선제로 평교사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교총회장에 당선된 이 회장은 "교총 창립 60년을 맞아 현장교육을 살리는 원년을 열겠다"고 다짐했다. 이 회장은 23일 교총 창립 60주년을 맞아 본지 기자와 전화 인터뷰를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등급제 수능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가 몹시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등급제 수능은 현 정부 들어 일부 '운동권 학부모'들이 만들어 낸 제도다. 이들이 교육인적자원부를 압박해 등급제 수능을 성사시켰다. 5등급제 주장까지 나왔다. 교총은 당시 등급제 도입 자체를 반대했다. 도입하더라도 적어도 15등급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9등급제 수능은 한 문제 차이로 등급이 갈리는 '로또식 성적표'가 돼 학생들의 혼란이 크다."

-수능 등급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데.

"차기 정부에서 초정권적 교육위원회를 구성해 긴 호흡을 갖고 대입제도를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공교육 수업 결과로 학생을 선발하되 대학 자율로 인터뷰나 작문시험만으로도 뽑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다만 대입제도는 문제가 생겼다고 곧바로 바꿀 경우 더 큰 혼란이 생길 수 있다. 장기적으로 제도 개선을 논의해야 한다."

-교총 자료에 보면 '코드가 맞지 않는 정부와의 10년'이란 표현이 있다. 무슨 의미인가.

"10년 전부터 '교육 개혁'이란 이름으로 현장 교사를 경시해 학교 교육이 붕괴됐다. 교원 정년 단축 때 정부는 모욕적 방식으로 이를 밀어붙였다. 사학법 개정이나 무자격 교장 공모제도 교사를 개혁의 대상으로 보는 정책이다. 현장 교사를 중심으로 학생.학부모가 만족할 수 있는 교육을 만드는 것이 차기 정부의 과제라고 본다. '코드가 맞지 않는 정부'라는 말은 조금 거친 표현이다. 교육 정책까지 특정 집단의 '코드'에 맞춰서는 안 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

-교총은 대선 후보 교육 공약을 검증하고, 지지 후보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어떤 후보를 지지할 것인가?

"26일 후보자 등록이 끝나면 교총 산하 한국교육신문사 주관으로 후보자.정책 선호도 조사를 할 것이다. 교총 회원과 비회원 일대일 비율로 1000명이 넘는 교육자 대상의 설문을 할 예정이다. 특정 후보에 대한 선호도가 몇 %라는 것도 공개할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협의해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

-현장 교육을 살리겠다고 했는데.

"교총은 교원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단체다. 전교조처럼 노동자를 표방하는 단체도 있지만 교총은 좋은 교사, 좋은 교육을 만들자는 전문직 단체를 지향한다. 중점 사업은 '현장 교육 다시 살리기'다. 학생을 잘 가르치는 공교육이 되자는 것이다. 현장교육지원센터를 만들어 수업 잘하는 교사들의 자료를 축적하고 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

배노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