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시황] 이사철 마무리 … 강북권 상승세 한풀 꺾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1면

서울 강남권 아파트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의 입주 물량이 소화되기도 전에 계절적으로 비수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여기다 고교 내신비중 강화 및 광역학군제 등의 영향으로 강남의 학군 메리트가 떨어진 탓도 있다.

재개발 이주 수요가 많아 한동안 강세를 보였던 강북권의 상승세도 한풀 꺾였다.

지난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평균 0.01% 내렸다. 강남(-0.07)·서초(-0.03%)·송파구(-0.47) 등 강남권(-0.17%)이 하락세를 주도했다. 송파구는 특히 신혼부부 등에게 인기가 많았던 소형(전용 60㎡ 이하)과 중소형(전용 60~85㎡ 이하)이 각각 1.73%, 0.15% 하락했다. 잠실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재건축 대단지 입주 아파트의 전세 물건 등이 아직 남아 있는데 가을 이사철이 마무리되면서 수요자들의 발길이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중개업소들은 “입주 아파트 전세 물건이 많다 보니 시설이 낡은 아파트는 몇 달째 계약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강북권(0.06%)의 상승세가 주춤해졌다. 은평(0.21→0.08%)·강북(0.08%→0.00%)·도봉(0.38→0.01%)·성북구(0.10%→0.01%)의 상승률이 2주 전보다 크게 줄었다. 도봉구 창동 이화공인 관계자는 “계절적으로 비수기여서 이사 수요가 급감했다”고 말했다.

경기지역 전셋값은 전체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10월 셋째주(0.12%) 이후 상승폭이 줄더니 지난주에는 0.02%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의왕(-0.33%)·평택(-0.13%)·안산(-0.18%)·수원시(-0.07%)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구시가지 재정비 사업 등으로 이주 수요가 많은 성남시(0.40%)와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싸 서울 등에서 옮겨오는 수요가 꾸준한 포천시(1.85%) 등은 많이 올랐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