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권 「정보고속도」 구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초고속정보통신망 사업 한일 체신장관 합의 의미/유럽·미주 블록화등 효과적 대응 의미도/일서 우선 시범… 한국도 연내 사업추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은 한일 양국이 각각 21세기 정보화사회를 대비한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번 한일 체신장관 회담은 초고속정보통신망사업에 양국이 서로 협력,보조를 맞춤으로써 양국이 주축이 돼 아시아 각국을 연결하는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하자는데 합의한 큰 성과를 거뒀다.
아시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국가들의 협조가 전제되긴 하지만 각국이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해저광케이블로 연결·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는 유럽·미주지역 등의 블록화와 범세계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에의 미국 독주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자는 의미도 포함돼 있다.
물론 아시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상을 제안한 일본이 우리나라의 협력을 통해 이를 추진하려하는 이면에는 21세기 정보사회의 주도권 장악이라는 계산이 깔려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일본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아시아지역의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에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에서 양국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일 양국이 각각 전개할 대규모 시범사업에 서로 상대국 민간기업을 참여시켜 기기공급·기술교류에 나서기로 한 것은 실질적인 협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오는 7월 간사이(관서)학원 도시에 멀티미디어와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종합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인데 우리나라 민간기업중 삼성전자·금성정보통신 등의 기업이 참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도 연내 시범사업에 들어가기 위해 현재 계획을 수립중이다.<박방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