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권후보 오바마 '대통령되면 북한 지도자 만나겠다'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주중앙대통령이 되면 첫 해에 조건없이 북한 등 불량국가 지도자들을 만날 용의가 있다는 버락 오바마 민주당 대권 후보의 발언이 논란에 휩싸였다.

CNN과 유튜브 주최로 23일(현지시각) 열린 민주당 대권 후보 토론회에서 오바마 상원의원에게 던져진 질문은 '대통령이 되면 집권 첫 해에 북한이나 이란, 시리아, 쿠바, 베네수엘라 지도자들을 조건없이 만날 용의가 있느냐'는 것.

민주당 대권후보 오바마 [사진=AP]

오바마 의원은 선뜻 "만날 용의가 있다"고 답변했다.

반면 라이벌인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은 "만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힐러리는 "선전 목적으로 악용되는걸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곁들였다.

논란은 힐러리 진영이 오바마의 발언이 대통령감으로서는 미숙함을 드러낸 것임을 부각시키려는 공세를 펼치면서 시작됐다.

힐러리 진영은 이날 토론회의 답변 장면을 인터넷을 통해 대대적으로 퍼뜨리면서 '힐러리는 오바마와 달리 훨씬 더 준비된 후보'라는 홍보전을 전개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으로서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위원장과 만났던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24일 긴급 전화회견을 열어 "힐러리 의원의 답변이 모든 (외교적) 절차를 이해한 훨씬 세련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힐러리의 열렬한 지지자인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그건 초기에는 하위 레벨의 접촉을 필요로 하는 단계적 절차"라며 "힐러리 의원은 그런 절차와 대통령의 가치를 정말로 이해하고 있다"고 극찬했다.

오바마 진영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다.

클린턴 1기 행정부 때 국가안보 보좌관을 지낸 앤서니 레이크를 내세워 "위대한 나라와 그 대통령은 누구와의 협상도 결코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오바마 의원은 리처드 닉슨이 중국과, 로널드 레이건이 소련과 했듯이 자신도 그렇게 할 것임을 올바르게 밝힌 것"이라고 반박했다.

오바마 진영은 또 성명을 통해 "오바마 의원의 발언은 부시 행정부가 8년간이나 거부했던 것과는 달리, 외교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미국의 안보 이익을 지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급격히 변경할 것임을 밝힌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렇다고 그가 아무런 준비도 없이 맹목적으로 불량국가 지도자들을 만나겠다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진영은 힐러리 의원도 지난 4월23일 "우리 대통령이 나쁜 사람들과는 대화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엄청난 실수라고 생각한다"고 했다가 이제와서 입장을 바꿨다고 역공을 펼쳤다.

힐러리 진영은 그러나 4월 발언도 불량국가 지도자들과 만나기에 앞서 "우선 그런 나라들과 외교적 협의를 시작하겠다"는 것이었다며 오바마 진영이 이런 언급을 거두절미 했다고 비판했다.

두 선두주자간의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3위를 달리는 존 에드워즈 전 의원은 "김정일이나 아흐마디네자드, 우고 차베스를 만나겠다고 공개적으로 약속하진 않겠다. 그럴 경우 선전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다분하다"며 은근히 힐러리와 비슷한 의견을 개진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