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 방북, 6자회담 北ㆍ美 주도 계기로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5호 02면

미국의 크리스토퍼 힐(사진) 국무부 차관보는 6자회담의 ‘입’이다. 2005년 7월 4차 6자회담부터 수석대표를 맡은 이래다. 베이징의 숙소를 드나들면서 언론에 던지는 한마디 한마디가 회담의 풍향계였다. 미 행정부 내에서는 ‘협상의 힐’이라는 평판을 듣고 있다. 1995년 보스니아 전쟁을 끝낸 데이턴 평화협상 때 리처드 홀브룩 전 유엔대사와 더불어 활약하면서다. 2005년 북핵 폐기와 북ㆍ미 관계정상화 원칙 등이 든 9ㆍ19 공동성명, 북한의 핵 폐쇄가 포함된 2ㆍ13 합의는 협상가로서의 그의 주가를 한껏 높여주었다.

양국 외무장관 채널 생겨날 수도…중국 역할 축소 전망

하지만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BDA)에 묶인 북한 돈 반환이 3개월가량 지연되면서 그는 ‘양치기 소년’ 신세가 됐다. “조만간 해결될 것”이라는 그의 말은 빗나가기 일쑤였다. 행정부 내 강경파의 비판이 쏟아졌다. 2ㆍ13 합의의 모멘텀을 잃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왔다. 북한 비핵화의 ‘잃어버린 3개월’이 그에겐 ‘인고(忍苦)의 3개월’이었을 듯하다.

그의 얼굴이 밝아졌다. 21일 방북한 뒤 22일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한 그의 표정에는 자신감이 묻어났다. “북한과 우리는 2ㆍ13 합의를 완전히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했다. 북한이 2ㆍ13 합의상의 의무사항인 핵 폐쇄와 봉인을 확약했다는 얘기다. 그의 방북은 2ㆍ13 합의에 새로운 숨을 불어넣는 계기가 됐다.

북한이 힐 회견 하루 만에 그와의 협의 내용을 공개한 것도 주목거리다. 외무성 대변인은 “문제 토의는 포괄적이고 생산적이었다”며 6자회담과 6자 외무장관 회담 희망 일정까지 내놓았다. 이례적이다. 북한의 이 발표를 보면 향후 북핵 로드맵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관 복귀→영변 핵시설 폐쇄ㆍ봉인→6자회담(7월 초)→6자 외무장관 회담(7월 말 또는 8월 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외무장관 회담은 6자회담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면서 북ㆍ미 외무장관 간 새 채널을 만들 전망이다. 북ㆍ미 관계 개선의 상징적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힐 방북을 통한 북ㆍ미 양자회담은 6자회담 구도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것 같다. 실질적 협의는 북ㆍ미 양자회담에서 이뤄지고 6자회담은 이를 추인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6자회담 2ㆍ13합의도 마찬가지였다. 1월의 북ㆍ미 베를린회담에서 합의한 내용이 모태였다. 당연히 중국의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 북ㆍ미 간 긴밀한 협의는 ‘납치문제’나 조총련에 강경자세를 보이는 일본을 더 곤란하게 만들지 모른다. 일본 일각에선 미국의 대북정책 전환을 ‘닉슨 쇼크’(일본에 알리지 않고 72년 닉슨 대통령이 방중한 것)에 견주는 판이다. 북ㆍ미가 6자회담을 주도하는 국면이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