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대선운동원 참여/줄잇는 통·반장 사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16일 시한 앞두고 3백90명 떠나/내무부/“주민에 알려 관권오해방지” 안간힘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통·이·반장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개정된 대통령선거법에 의해 정당의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할 통·이·반장의 사퇴시한이 16일로 다가옴에 따라 지역실정에 밝은 이들을 선거운동원으로 활용하려는 각 정당의 포섭활동이 본격화되면서 사퇴하는 일선 시·군의 통·이·반장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내무부는 최근까지 현직에 있다 사퇴한 통·이·반장들의 선거운동으로 빚어질 수 있는 행정의 선거 관여 오해를 예방하기 위해 이들의 사퇴사실을 주민들에게 정확히 알리고 현직을 가장한 부당한 영향력 행사를 차단하라고 일선 시·도에 긴급 지시했다.
13일 내무부에 따르면 12일까지 선거운동을 위해 자진사퇴한 통·이·반장은 통장 20명·이장 9명·반장 3백61명 등 3백90명으로 집계됐다. 또 일선 구청·동사무소에는 『선거운동을 하려면 언제까지 사표를 내면 되느냐』는 문의가 잇따라 16일까지 통·이·반장의 사퇴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사퇴한 통·이·반장을 시·도별로 보면 대구가 1백43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82명,경기 46명,경북 38명,전북 23명,강원 15명,경남 15명,충북 12명,부산 7명,전남 6명 충남 2명,대전 1명 등이다.
특히 대구시의 경우 10,11일 이틀동안에만 통장 12명,반장 93명 등 무려 1백5명이 무더기로 사표를 냈다.
내무부 관계자는 『전국의 통·이·반장수가 모두 50만6천5백89명인 점에 비추어 보면 16일까지 사퇴자가 더 늘어난다 하더라도 전체 숫자의 1%에도 못미칠 전망』이라며 『그러나 전직 통·반장으로 이들의 주민에 대한 영향력이 매우 큰만큼 행정선거라는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내무부는 이를 위해 사표를 낸 통·이·반장의 명단을 읍·면·동사무소에 즉시 게시토록 하고 공석이 된 통·이·반장을 즉시 임명·위촉해 변동 사실을 주민들에게 알려 행정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했다.
내무부는 또 현행법상 정당 가입이 제한되지 않은 현직 통·이·반장들도 주민모임을 주선하거나 입당을 권유하는 등 선거운동을 하지않도록 철저히 지도·단속하라고 지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