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측 "李-BBK 관계, 검찰 수사 제대로 안 돼"

중앙선데이

입력

중앙SUNDAY

BBK 사건과 관련해 논란이 붙은 쟁점 의혹에 대해 중앙SUNDAY는 박근혜 전 대표 캠프에도 공개 질의했다. 이에 대한 박 전 대표 측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

-이명박 전 시장은 7일 기자회견에서 “BBK 건도 저는 그 회사의 주식 한 주도 가져본 일이 없다. 이미 그 사실은 금감위나 검찰에서 조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고, 김경준씨도 진술한 바 있다” “BBK는 김경준씨가 저를 만나기 전에 회사를 설립해 운영했던 회사”라고 말했는데.

“특정 회사와 실질적인 관계가 있느냐는 질문에 주식을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답변은 동문서답이다. 주식 한 주도 없이 계열사 경영에 얼마든지 간여할 수 있다. BBK는 김경준씨가 이 전 시장을 만나기 전에 설립해 운영했던 회사이기 때문에 관계없다는 주장은 상식의 궤를 벗어난다. 회사 설립 시점의 구도는 상황과 여건에 따라 언제든지 변하기 때문이다. 2000년 2월 LK-eBank를 이 전 시장이 김경준과 공동 설립한 후 BBK의 성격과 구도가 변화했다는 징후가 여기저기서 발견된다. 검찰은 BBK와 이 전 시장의 관계를 제대로 수사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면 그 근거를 공개해야 한다.”

-캠프의 최경환 의원이 이 전 시장의 이뱅크 코리아 명함을 공개했다. 명함 출처나 제보자의 신원을 공개할 수 있나.

“명함 문제의 본질은 제보자의 신원이 아니라 명함 내용이 사실인가 하는 점이다. 명함엔 ‘이명박/대표이사’라고 기재한 하단에 eBANK -Korea와 함께 BBK와 LKeBANK, eBANK증권이 모두 적시돼 있다. eBANK-Korea가 지주회사 성격이고 BBK를 포함한 나머지 3개 회사가 자회사 혹은 관계회사임을 드러내는 징후 중 하나다. 이 전 시장 측 답변은 ‘미래의 제휴 회사 개념이었다’ ‘김경준이 만들어 이 전 시장에게 준 명함이지만 이 전 시장은 그 명함을 가지고 다니지 않았다’ 등으로 이 명함의 존재 자체와 이 전 시장의 인지 사실은 부인하지 못하고 있다.”

-모 주간지가 보도한 2000년 5월 12일 BBK의 개정 정관을 두고 이 전 시장 측에선 김경준씨가 일방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그 주간지는 그 정관이 법무법인의 공증을 받아 금감원이 국회에 공식 문건으로 제출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국가기관이 공식적으로 관련된 이 문건을 김경준 개인이 위조한 것으로 매도하는 것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

-이 전 시장 측에선 이 전 시장이 발기인이었다면 1999년 10월 정관에도 이 같은 내용이 기록돼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백 보 양보해 1999년 10월 정관이 진짜라고 가정한다면 한 가지 가능성은 설립 시점에서의 정관과 일정 시점 경과 후 개정된 정관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다. 이는 BBK 설립 시점엔 이 전 시장이 관여하지 않았으나 나중에 이 전 시장이 설립한 회사들과 지주회사-자회사 성격의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면서 BBK에 이 전 시장이 관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정관을 개정했을 개연성이 높다. 그런 경우조차 금감원이 국회에 제출한 정관이 위조가 아닌 한은 ‘BBK와 관계가 없다’고 한 이 전 시장의 해명은 거짓말이 된다."

이상렬 기자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