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합작 조사단 평양에 가나 안가나(경제초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일주일 앞두고 참가업체 선정조차 못해/「대우기득권」놓고 정부·재계서도 뒷짐만
북한 남포에 조성될 남북한 합작공장 건설을 위한 업체실무조사단이 과연 예정대로 북한에 들어갈 수 있을까.
조사단을 파견하기로 한 15일께를 1주일 남짓 앞둔 7일 현재,이에 대한 가닥조차 잡히지 않고 있어 방북희망업체들은 그같은 의문에 휩싸여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조사단 구성은 화승등 경공업분야의 국내 정상전문업체나 북한출신 기업인들이 바람직하며 이 문제를 업계와 공동협의한다는 것뿐이다.
그동안 이같은 내용을 「독점적으로」 업계에 전했던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은 최근에 다시 해외에 나갔다가 15일께 귀국예정으로 있어 방북희망업체들은 더욱더 「감잡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그동안 제기돼온 「대우기득권」 문제와 관련,조사단 구성의 중심이 대우인지 전경련이나 무협등 경제단체인지,또 정부가 얼마나 간여하고 있는지조차 오리무중이다.
김회장은 이에 대해 지난달 31일 무역협회 초청간담회에서 『조사단 구성 주체는 대우가 아니며 정부 역시 공식적인 반응을 보인 적이 없다』고 말해 업계공동의 조사단 구성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분명히 시사했지만 각 경제단체나 대기업들은 이같은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롯데호텔에서 유창순 전경련회장 주재로 열린 재계 총수간담회에서 김회장은 예의 특정기업을 지칭하며 『이러이러한 업체들이 남포에 들어가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가 참석한 재계 총수들로부터 불만을 샀으며 이에 대해 김회장은 『재계 어른들의 뜻을 따르겠다』고 대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이날 북한 진출의 기득권문제를 놓고 미묘한 관계에 있는 현대그룹 회장이 불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한가지 업계에서의구심을 갖는 점은 대북한 실무조사단 파견에 대해 정부가 여태껏 한번도 공식적인 의견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데 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경제는 민간에 맡긴다는 조심스런 입장은 이해하더라도 단일교섭창구인 북한과 거래하면서 빚어질 국내업계의 과당경쟁이 불을 보듯 뻔한데도 지금까지 북한문제를 독점해왔던 정부가 유독 이번만 뒷짐지고 있는 것이 이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홍승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