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3월 성사」준비/정부 “언제 어디서나 무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북한이 김일성주석을 비롯,김용순 당비서등 고위관리들의 언급을 통해 정상회담개최의사를 분명히 표명함에 따라 3월 중순께 이를 성사시킨다는 목표를 세우고 구체적인 준비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정부는 특히 정상회담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회담의 시기택일·장소·의제 등에 대한 북측의 진의를 파악하는게 급선무라고 보고 막후채널을 가동키로 했다.
한편 최호중 부총리겸 통일원장관은 이날 오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운영위·상임위원회 합동회의에서 보고를 통해 『언제,어디서든지 정상회담에 응하겠다는게 정부의 입장』이라며 『이러한 견지에서 정부는 정상회담이 조기에 실현되기를 바라고,그렇게 될 수 있기를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부총리는 『북한처럼 권력이 한사람에게 집중돼있는 체제를 대상으로 관계를 개선할때 정상회담의 효율성은 매우 크다』며 『정상회담이 개최되면 비정상적인 남북관계를 평화와 통일로 가는 궤도위에 확고하게 올려놓은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종휘 청와대외교안보 수석비서관은 28일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노태우 대통령의 친서전달등 북한과 직접적·공개적 접촉이나 대화는 없었다고 말하고 아직 시기나 장소·의제를 논의할 단계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김수석은 남북정상의 만남이 대화 및 교류증진과 통일촉진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입장이지만 북한이 정상회담에 대한 원칙적 동의만 표명하고 구체적 언급을 않고있어 서둘지 않고있다고 밝혔다.
김수석은 따라서 2월 평양에서 열릴 6차 남북고위급회담때 북측의 진의를 파악한 뒤 검토할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노대통령은 금명간 김우중 대우 회장을 접견,김주석과의 면담결과등을 청취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은데 김회장은 27일 통일원·안기부 고위관계자와 만나 방북결과를 설명한 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