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온KUFTA시대] 정치권 찬반 대립 확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미 자유무역협정(KUFTA) 협상 결과에 정치권은 크게 요동쳤다. 숨을 죽이며 협상 결과를 예의주시하던 정파들은 각각 환영과 유감의 뜻을 감추지 않았다. 찬반 대립 기류가 더욱 명확하게 엇갈려 국회 비준 과정의 험로를 예고했다.

◆ "국익 도움 되면 비준"=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내용을 면밀히 검토한 뒤 국회 비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내부적으론 타결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한.미 FTA는 한국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양국이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층 더 공고한 파트너십을 형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윤건영 FTA 특위 위원장은 "협상 세부 내역을 충분히 검토한 뒤 비준 동의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최재성 대변인은 "국익에 도움이 된다면 열린우리당이 앞장서서 국회 비준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한.미 FTA특위 위원장인 홍재형 최고위원은 "우리 측에 불리하지 않고 미국과 '윈-윈'하는 협상 내용이라면 비준을 너무 뒤로 미루지 말고 국회에서 빨리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세균 의장도 "차분하고 냉철한 상황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각 정당.정파들은 일제히 2일 오전 긴급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 "무효화 투쟁 시작할 것"=단식 농성 중이던 민생정치모임의 천정배 의원은 "참여정부가 '4.2 조공협상'으로 경제주권을 넘겨주고 민생을 포기한 것은 국민에 대한 배신"이라며 "앞으로 비상한 각오로 범국민적 항쟁을 통해 조공협상을 반드시 무효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지도부 의중과는 달리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내부 사정도 간단치 않다. 열린우리당 김근태 전 의장은 1일 "협상이 끝나면 일단 단식은 풀겠지만 비준에는 비판적"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권오을 의원 등 당내 농촌지역 의원들의 비준 반대 움직임에 신경이 쓰이는 눈치다. 민주당 이상열 대변인은"타결에 매달려 졸속협상을 했다면 국민의 심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욱.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