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왕수석' … 임기 말 권력관리 총대 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문재인입니다."

9일 오전, 10개월 만에 청와대에 돌아오는 문재인 비서실장 내정자의 전화 목소리는 낮고 차분한 바리톤 음색이었다.

"여보세요"나 "누구세요" 대신 자기 이름을 바로 대는 건 문 내정자의 자부심이 묻어나는 통화 스타일이다.

건강이 어떠냐고 묻자 "괜찮다. 좋다"고 했다. 그는 청와대를 떠나기 전 격무와 스트레스로 치아를 11개나 뺐을 정도로 좋지 않았다.

다시 돌아오게 된 소감을 묻자 "정식 임명장을 받은 뒤에 인사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고생할 각오가 돼 있다"고만 했다.

민정수석(2003년 2월~2004년 2월)→시민사회수석(2004년 5월~2005년 1월)→민정수석(2005년 1월~2006년 5월)→비서실장(2007년 3월~).

청와대를 떠났다가 돌아오기를 세 차례. 문 내정자는 노무현 대통령과 임기를 함께할 운명이다.

문 내정자는 노 대통령의 마음을 잘 읽고 신임이 두터워 과거 청와대 근무 때 '왕수석'으로 불렸다. 1982년 노 대통령과 변호사 동업을 한 게 계기가 돼 25년째 인연을 맺어 왔다. 이호철 국정상황실장과 함께 이른바 '부산파' 실세이고, 안희정씨를 포함한 386 참모들도 그의 말을 무겁게 받아들인다. 집권층 내부에서 그의 업무 처리 방식은 강직하고 원칙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문씨의 실장 내정에 청와대 비서진과 참모들이 긴장하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문 내정자는 사소한 문제도 대충 넘어가지 않는다"며 "임기 말 노 대통령의 권력 관리를 담당할 청와대 비서실장으로선 최적임자"라고 했다.

정치권의 다른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문 내정자에게 집권세력 내 갈등을 조정하고, 대선 주자 줄서기 같은 행정부 내 일탈 현상을 다잡아 줄 것을 바라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변호사인 데다 정치권 사정과 공직 기강 업무를 맡았던 민정수석의 경험도 있어 임기 말 권력 누수를 적절하게 차단해 줄 것이란 기대도 따른다.

하지만 수석 시절 여당 쪽 민원과 청탁을 잘 들어주지 않아 열린우리당 의원들로부터 원성을 듣곤 했다.

당과의 악연 때문이었을까. 열린우리당은 지난해 8월 노 대통령이 문 내정자를 법무부 장관에 앉히려 했을 때 끝까지 반대해 관철시키기도 했다. 그는 청와대 밖에 있을 때 "참여정부는 부산 정권이다. 부산 사람들이 도와줘야 한다"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문재인은=경남 거제(54) ▶경남고.경희대 법대 ▶사법고시 22회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 상임집행위원 ▶민변 부산.경남 대표 ▶노무현 대선 후보 부산선대위원장 ▶청와대 민정수석.시민사회수석.정무특보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