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대소 경협 본격 논의/방콕회의에서 「획기적 방안」 논의될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태국수도 방콕에서 12일부터 열린 서방선진7개국(G7) 재무장관회의와 제46차 국제통화기금(IMF)총회에서는 파탄지경에 이른 소련경제를 살리기 위한 원조방안이 집중논의사항이어서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대통령은 『소련이 올겨울을 무사히 넘기는 데에만 1백억달러이상의 원조가 필요하다』며 구원의 손길을 호소하고 있다.
소련경제를 정상궤도에 올려놓으려면 앞으로 10년간 최소 2천억달러의 외부원조가 뒷받침돼야 하리라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서방측은 그동안 소련에 대해 정치적 지원은 아끼지 않으면서도 경제원조는 다소 인색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난 8월의 보수파의 쿠데타실패후 소련경제의 파탄은 탈냉전무드를 결정적으로 그르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서방측이 대소원조에 적극 나서고 있어 이번 총회에서 「획기적인 방안」이 마련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돌고 있다.
IMF를 사실상 주도하고 있는 미국등 G7 재무장관들은 이미 11일 사전모임을 갖고 대소원조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현재 6백50억달러에 이르는 소련의 외채 상환을 돕기 위해 차관을 제공하고 소련이 시장경제로의 전환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대소자본투자를 대폭 늘리는 등 구체적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5일 IMF 특별준회원국이 된 소련도 12일 게오르기 야블린스키 경제대책위원회위원을 단장으로 한 대표단을 파견,보다 많은 경제원조를 얻어내기 위한 총력외교를 펼치고 있다.
특히 며칠전 유럽공동체(EC)와 일본이 잇따라 대소긴급경제원조 계획을 발표한 것도 이번총회의 분위기를 잡아나가는데 한몫할 것이란 분석이다.
EC가 7일 미국과 일본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면 소련에 24억달러의 월동자금을 원조하겠다고 발표하자,일본도 바로 그 이튿날 사카모토(판본삼십차)관방장관이 5억달러상당의 식품·의약품을 포함,25억달러를 원조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에 앞서 중동의 부국 사우디 아라비아도 지난달 20일 15억달러의 차관과 함께 식량·의료지원을 하겠다고 발표한바 있다.
그러나 이같은 긍정적 상황전개와는 대조적으로 소련이 아직 IMF 정회원국이 아닌데다 독일등 일부국가들이 원조의 전제조건으로 소 자산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요구하는등 제동을 걸고있고 올해 상반기만 해도 작년 같은 기간의 2백50%에 해당하는 7백억달러의 재정적자를 기록한 소련경제가 IMF의 원조로 일어서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정태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