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에 대규모 쓰레기 매립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사용연한 백년…2천년대 착공
김포해안 쓰레기 매립장 규모의 4배가 넘고 1백년이상 사용이 가능한 제2해안 쓰레기 매립장이 경기도 강화군화도면 앞 해안에 세워진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92년 하반기부터 사용이 시작되는 김포해안 쓰레기매립장(6백27만평)의 사용연한(30년 추정) 이 끝나는 때에 대비, 장기계획으로 화도면 앞 공유수면 2천6백60만평을 서울·인천시·경기도 등 수도권의 제2쓰레기 매립장으로 조성키로 했다. <지도>
이 지역은 수심이 얕은 바다와 갯벌지역으로 이뤄져있어 매립장 조성이 손쉬운 곳으로 지난2월14일 환경처의 요청으로 건설부가 이 지역에 대한 공유수면 매립고시를 이미 끝마쳤다.
서울시관계자는 『쓰레기처리부지 확보가 지역주민들의 집단 민원 등으로 갈수록 어려워짐에 따라 관계기관과 협의, 장기계획으로 후보지를 미리 확보했다』며 『소각 및 처리기술의 발달에 따른 쓰레기의 감량화로 제2해안 매립지의 사용연한은 1백년이상이 될 수도 있어 22세기까지 수도권쓰레기처리의 걱정을 덜게될 것』 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와 인천시·경기도는 관련부처와 협의, 이 매립장에 대한 세부 건설안을 2001년까지 제3차 국토개발종합계획에 반영하고 현재 건설부고시상「유보지역」으로 돼있는 매립지역의 용도를 「쓰레기용지」로 확정 고시할 계획이다.
제2매립장 건립에 드는 사업비는 3천5백억원 (추정)으로 서울시와 인천시·경기도가 상주인구비율에 따라 분담하고 관리도 3개시·도가 지방자치단체조합을 만들어 환경관리공단에 위탁, 운영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들 지방자치단체가 주민혐오시설인 쓰레기매립장 부지를 주민공청회 등 여론수렴과정을 거치지-않고 선정, 이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반발도 예상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