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채널〃막 오른 유선방송시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꿈의 채널이라 불리는 종합유선방송(CATV) 시대의 막이 올랐다.
한국통신은 서울목동과 상계동 1만가구를 대상으로 종합유선방송망을 구축, 지난 1일부터 시범방송에 들어갔다.
낮12시부터 오후 5시까지 매일 5시간동안 방송되는 시범방송은 7개의 TV채널을 포함, FM라디오·정보통신서비스 등 13개의 서비스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공보처의 유선방송관리법이 제정되는 내년부터 시작될 본격방송부터는 TV채널 15개, FM음악방송 10개 채널 등 모두 25개 채널로 늘어난다.
광케이블에 의해 화면과 소리가 전송돼 「더 깨끗한 화질, 더 맑은 소리」로 시청자들의 채널선택권을 넓혀줄 종합유선방송은 시장규모 또한 엄청나다.
방송기자재 생산은 물론이고 영화·드라마제작 등 2000년까지 2조원대의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다.
특히 CATV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 홈쇼핑·홈뱅킹은 물론 방범·방재·비디오텍스(주컴퓨터에 저장된 각종 생활정보검색)서비스까지 할 수 있어 종합정보통신망(ISDN)을 위한 기반으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에 따라 국내기업들의 열기도 뜨겁다.
삼성·금성·현대·대우 등 국내대기업들은 물론이고 서강전자·태림전자 등 중소기업들도 미국·일본 등 CATV선진국기술을 도입해 경쟁에 나서고 있다.
시험방송 입찰 때에는 중소업체인 서강전자가 25억원의 덤핑(내정가액 77억원)으로 낙찰 받아 재계를 놀라게 했다.
국민체육진흥공단도 93년 본격방송을 목표로 CATV스포츠 프로그램 공급계획을 밝히고 전담사업단을 발족시키는 등 각종 단체들의 프로그램 공급준비도 활기를 띠고 있다. <이철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