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히기" vs "뒤집기" 한달 앞둔 설 … 민심 잡기 올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19일 경남 사천시 한국우주항공산업을 방문해 T-50 조종석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승세 굳히기냐, 반전이냐.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진영 사이에 전의가 뜨겁다. 시한은 일단 설날인 2월 18일까지다.

사흘간 설 연휴가 양 캠프에 주는 무게감은 작지 않다. 민족 대이동이 이뤄지는 명절 기간에 요동치는 민심 변화가 주자 간 희비를 가르곤 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추석연휴 때 특히 그랬다. 오차 범위 내에서 선두싸움을 벌였던 초박빙 양상은 연휴를 지나면서 확 바뀌었다.

<그래픽 참조>

당시 이 전 시장은 오차 범위 밖으로 박 전 대표를 밀어내며 '1위 독주'의 발판을 만들었다.

'한반도 대운하 구상' '과학 비즈니스 도시'와 '경제+추진력 리더십'을 내건 이 전 시장의 행보가 북핵 위기라는 바람을 타고 어필했기 때문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左)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최병국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오종택 기자]

이번 설 연휴는 이 전 시장에겐 수성(守城)의 고비, 박 전 대표에겐 반전의 분수령인 셈이다.

두 주자의 한 발짝 한 발짝, 한마디 한마디는 모두 설 민심을 향하고 있다. 그래서 '뜨거운 겨울'이다.

◆"정치는 그만, 경제에 올인"=설날 연휴를 앞둔 이 전 시장 캠프의 화두는 '경제와 정책'이다.

이 전 시장은 최근 참모회의에서 "정치 일정은 최대한 줄이고 경제 관련 일정을 잡아라"고 했다. '정치는 그만, 경제에 올인'은 캠프의 구호가 됐다. 이 전 시장이 선점하고 있는 '경제 해결사'이미지를 극대화해 박 전 대표가 주장하는 검증론의 예봉을 무력화하겠다는 전략이다. 19일까지 1박2일 동안 경남 지역을 누빈 그의 입에선 정치 이야기 대신 경제 이야기만 쏟아졌다.

그는"모두가 경제 살리기를 말하지만 실제 행동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며 "국민에게 희망을 주겠다"고 했다.

이 전 시장의 캘린더도 2월 중순까지 과학 비즈니스 도시 심포지엄, 대운하 토론회, 국책사업 현장 방문, 상공인 간담회 등 온통 정책 관련 일정으로 빼곡하다. 그 가운데 이 전 시장 진영이 가장 공을 들이는 것은 경제 관련 비전이다.

'7% 성장을 통해,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를 열어, 7대 경제 강국 진입을 열겠다'는 '이명박식 경제 청사진'을 설 연휴 전에 발표할 예정이다. 한 측근은 "설 연휴가 승세를 굳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단호한 지도자의 모습으로 정면 돌파"=박 전 대표는 최근 캠프 조직 정비 작업을 마쳤다.

안병훈 전 조선일보 부사장이 캠프 본부장, 최경환 의원이 경선 대책, 이병기 여의도연구소 고문과 한선교 의원이 공보, 이성헌 전 사무부총장이 조직 분야를 맡는 새 진용을 갖췄다.

박 전 대표 측에선 "재도약을 위한 하드웨어가 구축됐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눈에 띄는 것은 단호해진 박 전 대표의 태도다. 그는 최근 현대자동차 노조에 대해 당내 주자 중 가장 먼저 단호한 입장을 밝히는 등 현안에 분명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대업 같은 자가 10명이 있다 해도 아무 문제없이 당선될 사람을 뽑아야 한다"거나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예방주사나 백신을 맞는 기분으로 의문을 해소해야 한다"며 검증론 공세를 강화했다. 한 측근은 "현안에 대한 분명한 태도로 누가 진정한 대통령 감인지를 보여 주겠다"고 했다.

설 연휴를 중대 고비로 보고 있는 박 전 대표 측은 무엇보다 국민과 접촉 기회를 늘릴 계획이다.

설 연휴까지 일주일에 최소한 이틀 정도는 지방의 민생현장을 찾아 그동안 축적해온 정책들을 하나 둘씩 내놓겠다는 것이다. 한 손에는 검증론으로 이 전 시장을 압박하고, 다른 손엔 업그레이드된 콘텐트를 보여주겠다는 게 '설날의 반전'을 노리는 박 전 대표의 전략이다.

글=서승욱 기자<sswook@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jongta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