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전·정육점 줄고 있다/소비 고급화로 백화점등에 손님 뺏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임대료·인건비 상승도 큰 원인
소매점하면 괜찮은 장사로 쳐주던 싸전과 정육점이 예전같지 않다.
소비의 고급화,편의추구 추세에 따라 백화점·슈퍼마킷 등에 손님을 뺏기고 있는데다 임대료·인건비 상승으로 점포유지가 힘들어진 것이다.
때문에 문을 닫고 전업하는 업소도 하나 둘 늘고 있다.
26일 농림수산부에 따르면 양곡소매상(농협판매점)의 경우 작년말 현재 3만4천4백40개소로 1년사이에 1천개 이상 줄었고 서울은 8천7백84개로 3백83개가 감소했다.
정육점은 중소도시·농촌지역의 육류소비 증가로 전국적으로는 작년말 현재 3만8천8백71개소로 2백여곳이 늘었으나 서울·부산 등 대도시에선 감소추세가 뚜렷하다.
서울의 경우 8천6백10개소로 1년사이에 8백93개소가 줄어들었다.
서울의 경우 하루평균 쌀소비량은 4만3천가마(정부미 포함)로 싸전 한군데의 평균수입이 5만원선(쌀 3가마 잡곡 20㎏ 기준)에 불과,한달로 쳐봐야 1백50만원 남짓이어서 임대료·인건비를 빼면 남는 것이 없는 까닭이다.
정육점도 한달평균 판매마리 수는 소 1.7마리,돼지 17마리 꼴인데 비해 평균 점포운영비는 임대료포함 월 1백38만원으로 사정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일부 양곡상이나 정육점들의 정부통일미의 일반미둔갑,수입쇠고기의 한우쇠고기둔갑 판매로 소비자들의 인식이 좋지 않은데다 상대적으로 백화점·슈퍼 등은 믿을만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정육점 영업이익감소 이유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