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국 → 군 출신 … 선군정치가 출세 코스 바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그렇다면 북한의 파워 그룹은 어떤 코스를 거쳐 권력 심장부에 진입할까. 본지 특별취재팀과 사회연결망 분석업체인 '사이람'은 파워 그룹(486명)의 전체 경력 4028개를 ▶시기 ▶기관 ▶직책으로 나눠 종합 분석했다. 이를 다시 1994년과 2006년의 파워 그룹(각 50명)으로 압축해 그들의 경력 네트워크를 해부했다.

◆"힘센 기관도 변한다"=94년에는 노동당 정치국을 거친 인물이 50명 중 29명이나 됐다. 당 정치국이 출세의 필수 코스였다는 얘기다. 하지만 지난해는 정치국 출신이 8명에 불과했다. 정치국의 권력 크기가 그만큼 줄어든 셈이다. 정보 당국의 한 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93년 이후 사망.숙청.망명 등으로 공석이 많아진 정치국을 재정비하지 않은 데다 정치국 자체가 비서국에 밀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군 경력에는 힘이 실리고 있다. 파워 그룹(50명) 중 군 출신은 94년 21명에서 지난해 33명으로 늘어났다. 군 경력을 세분하면 인민무력부 출신 14명, 총참모부 출신 10명, 총정치국 출신 5명, 호위사령부 출신 4명 등이었다. 김 위원장은 선군정치 구호 아래 군 출신을 적극 발탁하는 한편 국방 분야 현지지도 횟수를 2002년 34회(총 192회)에서 지난해 65회(총 104회)로 늘렸다. 전현준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이 상명하복의 군대식 통치를 강조하면서 군 관련 인사들을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72년 설치된 국방위원회(현재 위원장 포함 7명) 출신은 최강 그룹으로 약진했다. 98년 헌법 개정 이후 국방위원회가 실질적인 최고통치기구로 격상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방위 경력자는 이 기간 중 6명에서 8명으로 늘었다. 핵심 측근인 전병호 국방위 위원(당 군수공업부장 겸임)은 90년 김 위원장이 국방위 1부위원장 직을 맡을 때부터 호흡을 맞춰왔다. 경남대 김근식 교수는 "권력의 중심이 정치국에서 국방위로 이동함에 따라 국방위는 절대적인 출세 코스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김정일 코스'가 출세의 왕도(王道)=김 위원장은 64년 당 조직지도부 책임지도원을 시작으로 ▶선전선동부 ▶비서국 ▶정치국 등을 거치며 후계자 수업을 받았다. 90년대 들어 군 최고사령관, 국방위원장 직에 오르며 권력의 두 축인 당.군을 완전히 장악했다.

<그래픽 참조>

전체 경력 4028개를 분석한 결과 김 위원장이 밟은 코스를 거쳤던 인물들이 대부분 '권력의 이너서클'에 편입됐다. 조직지도부.선전선동부 출신 인물들이 대표적이다.

최측근 중 한 명인 이제강 조직지도부 1부부장의 경우 김 위원장과 똑같이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출발해 1부부장까지 올랐다. 그는 80년대 김 위원장이 주도했던 평양 재개발 사업을 함께 추진하면서 신임을 얻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매제인 장성택도 조직지도부 경력이 13년에 이른다.

김국태 당 비서는 선전선동부 경력이 강점이다. 68년 선전선동부장이 됐던 김국태는 김 위원장과 함께 근무하면서 능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항일 빨치산 시절 김일성 주석의 오른팔이었던 김책 전 부수상의 아들이다. 만경대혁명학원.김일성대학을 졸업한 점도 똑같다.

◆빨치산 출신도 세대교체=김일성 시대에 빨치산 경력은 권력 핵심부로 들어가는 보증수표였다. 94년의 파워 그룹 중 빨치산 출신은 7명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빨치산 출신으로선 조명록 국방위 1부위원장만 남았다. 빨치산 1세대가 사실상 사라진 셈이다.

빨치산 출신의 자녀 등 '혁명 유자녀'만 입학할 수 있는 만경대혁명학원의 졸업생은 늘고 있다. 94년 10명에서 지난해 14명으로 늘었다. 동국대 김용현(북한학과) 교수는 "빨치산 후손들이 대를 이어 파워 그룹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파워그룹 50명의 경력 네트워트>
북한의 시기별 파워 그룹(각 50명)이 3회 이상 거쳐간 경력을 그림으로 나타냈다.

▶사례 설명 : 1994년 그래픽에선 당 정치국 방향으로 그려진 화살표가 가장 두껍다. 당시 파워 그룹이 비서국에서 정치국으로 이동한 경우가 많았음을 뜻한다. 이동 경로와 관계없이 정치국을 거쳐간 인물은 모두 29명(괄호 속)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정치국으로 향한 화살표는 두께가 얇아지고 원 크기도 줄어들었다. 94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치국 경력을 가진 인물들이 파워 그룹에 더 적게 속했기 때문이다.

▶원:권력 기관과 학교 등을 나타낸다 ▶사진:해당 이동 경로의 대표적인 인물 ▶( ):각 기관을 거쳐간 인물들의 합계

▶화살표:파워 그룹에 속한 인물이 해당 기관.조직(원)을 거쳐갔음을 뜻한다. 화살표가 두꺼울수록 파워그룹 중 더 많은 사람이 해당 기관을 거쳤다.(※빨간색 점선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경력 이동 코스)

◆특별취재팀=이양수 팀장, 채병건.정용수.정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