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정진홍의소프트파워

올 한 해 날마다 기적이었다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헬렌 켈러의 글은 당시 경제 대공황의 후유증에 허덕이던 미국인들을 잔잔히 위로했다. 우리가 무심코 마주하는 이 세계가 날마다 기적 같은 것임을 일깨워 주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리더스 다이제스트'는 이 글을 '20세기 최고의 수필'로 꼽았다. 한때 우리 영어 교과서에도 실렸던 그 내용은 대략 이런 것이었다.

"첫째 날, 나는 친절과 겸손과 우정으로 내 삶을 가치있게 해준 설리번 선생님을 찾아가 이제껏 손끝으로 만져서만 알던 그녀의 얼굴을 몇 시간이고 물끄러미 바라보면서 그 모습을 내 마음속에 깊이 간직해 두겠다. 그러곤 밖으로 나가 바람에 나풀거리는 아름다운 나뭇잎과 들꽃들 그리고 석양에 빛나는 노을을 보고 싶다.

둘째 날, 먼동이 트며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나서, 서둘러 메트로폴리탄에 있는 박물관을 찾아가 하루 종일 인간이 진화해온 궤적을 눈으로 확인해 볼 것이다. 그리고 저녁에는 보석 같은 밤하늘의 별들을 바라보면서 하루를 마무리하겠다.

마지막 셋째 날에는 사람들이 일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기 위해 아침 일찍 큰길에 나가 출근하는 사람들의 얼굴 표정을 볼 것이다. 그러고 나서 오페라하우스와 영화관에 가 공연들을 보고 싶다. 그리고 어느덧 저녁이 되면 네온사인이 반짝거리는 쇼윈도에 진열돼 있는 아름다운 물건들을 보면서 집으로 돌아와 나를 이 사흘 동안만이라도 볼 수 있게 해주신 하나님께 감사의 기도를 드리고 다시 영원히 암흑의 세계로 돌아가겠다."

헬렌 켈러가 그토록 보고자 소망했던 일들을 우리는 날마다 일상 속에서 마주한다. 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놀라운 기적인지는 모른다. 아니 잊고 산다. 그래서 헬렌 켈러는 이렇게 말했다. "내일이면 귀가 안 들릴 사람처럼 새들의 지저귐을 들어보라. 내일이면 냄새를 맡을 수 없는 사람처럼 꽃향기를 맡아보라. 내일이면 더 이상 볼 수 없는 사람처럼 세상을 보라"고! 내일이면 더 이상 할 수 없는 일임을 알게 되면 오늘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이 얼마나 소중하고 놀라운 기적 같은 일인지 뒤늦게나마 깨달을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 한 해를 돌이켜 보면 날마다 기적이었다. 쳇바퀴 돌듯 정신없이 살아온 기억밖에 없는데 무슨 기적이냐고 반문할 사람도 적잖을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게 '정신없이' 살아왔으면서도 이렇게 멀쩡히 살아있는 것 자체가 기적 아닌가. "힘들어 죽겠어"를 입에 달고 살면서도 아직까지 죽지 않은 것도 기적이다. 큰 기업, 작은 기업 할 것 없이 숱한 파산과 부도의 위기에서 그래도 살아남아 여기까지 온 것도 기적이다. 그 와중에 3000억 달러의 수출 금자탑을 쌓은 것도 기적이다. 더구나 북핵 위기와 전시작전통제권 파동 속에서 참으로 특별한 대통령을 모시고도 이 나라가 아직도 건재한 것 역시 기적 중의 기적이 아닐까 싶다.

기적 같았던 2006년도 하루가 남았다. 그 남은 하루도 기적의 날로 만들자. 그리고 2007년 새해는 또 다른 기적의 한 해가 되게 하자.

정진홍 논설위원